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SOILWORKS 생성 편집

[SOILWORKS] 지반물성 DB확인 및 활용법

지반수치해석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는 지반의 물성 정보를 알고 있어야 올바른 해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수치해석 수행 전 지반조사를 통해 설계정수가 산정되지만, 지반조사가 실시되지 않았거나 분석결과가 부족하여 해석에 사용할 입력물성을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SOILWORKS에서는 다양한 지반물성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어,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하여 지반물성을 모르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물성을 선택하여 해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질문 

1. 지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나요?

 

 

답변 

지반재질 데이터베이스는 모델 > 지반물성에서 좌측 하단부의 를 선택하여 지반정수 DB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지반정수 데이터는 다양한 국내 과업에 적용된 대표적인 지반물성을 지역별/토질별로 분류하였으며, 토질종류에 따라 원하는 지반을 선택하고 할당버튼을 누르면 지반물성이 작업트리에 등록됩니다.

그림 1. 지반재질 데이터베이스

 

질문 

2. 자주 사용하는 지반물성을 등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변 

SOILWORKS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반물성 데이터베이스를를 만들어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DB가 저장되는 위치는 SOILWORKS가 설치된 폴더 하부의 Dbase 폴더이며, 지반물성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자명은 *.gdb 입니다.

1) 데이터베이스 양식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폴더 하부 DBase 폴더의 1.0서울경기지역_편마암.gdb 파일의 사본을 작성합니다.

2) 이름을 Test_DB.csv 로 변경합니다.

3) 더블클릭 혹은 Excel을 이용하여 csv 파일을 오픈합니다.

4) 토질종류, 탄성계수, 습윤단위중량, 포화단위중량, 포아송비, 점착력, 내부마찰각, UNIT로 구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지반물성들을 등록합니다. (Unit의 단위를 KN → T 으로 바꾸면 ton 단위로 입력도 가능합니다.)

그림 2. 지반 데이터베이스 구성(csv)

 

6) 저장된 파일명을 Test_DB.gdb 로 변경합니다.

※ *.gdb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보면 Unit 의 m 뒤에 공백란이 “,” 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Excel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빈 공백란을 “,” 로 자동으로 변경되어 저장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데이터 호출시 단위가 잘못 지정될 수 있으므로 UNIT의 m 뒤의 “,” 를 반드시 제거해주셔야 합니다.

그림 2. 지반 데이터베이스 구성(gdb)

 

7) SOILWORKS 프로그램 내에서 모델 > 지반물성 정의 > 데이터베이스… 를 선택하여 작성한 지반물성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그림 4. 지반재질 데이터베이스(사용자 지정)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