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eGen 생성 편집

[eGen] [모델검토] 허용층간변위 초과여부 검토

질문 

허용층간변위 초과여부 검토 메시지는 어떤 내용인가요?

 

답변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  8.2.3]에는 건축물의 내진등급에 따라 허용층간변위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지진하중에 의한 층간변위가 기준에 명시된 허용층간변위를 초과할 때 검토메시지 NG가 표시됩니다.

건축물중요도 중요도( ) 중요도(1) 중요도(2)
내진등급
허용층간변위 0.01 x hsz 0.015 x hsz 0.02 x hsz
*hsz : z 층 층고

 

 아래 예시를 참고하여 층간변위 확인 방법과 검토메시지 NG 해결을 위한 변위 제어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층간변위 확인


Step1. 층간변위 테이블 호출

[모델검토] ▶ '허용층간변위 초과여부 검토' 메시지 더블 클릭 ▶ [Tracer] 버튼 클릭

또는 

[결과] 메뉴 ▶ [층별결과] [테이블][층간변위] 클릭 ▶ '하중조건/하중조합'에서

동적지진하중을 의미하는 RS_0과 RS_90을 체크한 후 확인 클릭 (ES : 우발편심)

 

 

Step2. 층간변위비 확인

테이블에서 층간변위비(⑦)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값을 허용층간변위비(③)와 비교하여 OK / NG 여부를 결정합니다.

① : [층별정보]에 입력한 층고

: P-delta 효과에 의한 증폭계수 (층별안정계수 테이블에서 확인 가능)

: 내진등급에 따른 허용층간변위비

: 최대층간변위가 발생하는 검토대상 절점

: 탄성해석에 의한 층변위

⑥ : ②  x ⑤ x (변위증폭계수(Cd) / 중요도 계수(le))  <식 7.2 - 13>

: /

 

결과 : ≦ ③OK,

      ⑦ < ③NG

 

 * 변위증폭계수Cd)와 중요도 계수(Ie), 내진등급 은 [해석] 메뉴 ▶ [기본하중설정][지진하중]탭에서 기타 내용 확인 가능

<FAQ - 유효지반가속도 적절성 검토>

 

Step3. 모델링에서 변위 확인

[결과]메뉴 ▶ [변위]하중조건 RS_0+ES_0 선택 ▶ 부재력 DX 체크 ▶ [적용]클릭 

또는 [절점번호]를 입력하여 변위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모델에 표시되는 변위와 테이블에 표기되는 변위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하중조건 RS_90+ES_90, 부재력은 DY로 선택하여 Y방향 변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변위 제어


Alt 1. 지진하중 저감

대지 위치에 따라 유효지반가속도를 줄일 수 있는데, 이 값을 줄이면 지진하중을 저감시켜 변위를 줄일 수있습니다. 

[해석]메뉴 ▶ [기본하중설정][지진하중]탭에서 유효지반가속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Alt 2. 벽가새 설치

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1층에 X, Y방향으로 벽가새를 설치합니다. 

 

Alt 3. 주각부 결합조건 변경

주각부에서 휨강성을 고려하도록 설정합니다.

 

Alt 4. 부재단면 증대

기둥큰 보의 단면크기를 키워 변위를 제어합니다.

 

*풍하중에 의한 변위 제어방법과 유사하므로 기타 해결방법은 [따라하기] 수평력(풍하중)에 의한 건물의 수평변위 검토 학습과정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모델파일

1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