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CIVIL 생성 편집

[CIVIL] 교대 받침 평가에 사용되는 소요성능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질문

교대 받침 평가에 사용되는 소요성능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답변

 받침평가에 사용되는 소요성능은 교각 기둥의 단면강도와 조합탄성지진력 중 작은 값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교대의 경우 모델링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강체 구조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단면강도를 갖지 않습니다. 따라서 조합탄성지진력이 곧 소요성능이 됩니다.

 내진성능평가 옵션에서 교대의 조합탄성지진력을 산정 과정에서 교각과 차이가 있습니다. 교각의 경우 기둥상단에 발생하는 전단력의 합을 조합탄성지진력으로 사용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교대는 모델링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받침 Link에 발생하는 전단방향의 내력을 소요성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교대 받침 Link에 발생하는 내력을 보고서에 별도로 출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산출근거가 필요하다면 CIVIL에서 계산된 받침 Link 내력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교대 받침평가에 사용되는 소요성능(조합탄성지진력)은 Seismic Load Combination Type에 할당된 모든 하중조합 중 가장 큰 Link 내력을 갖는 하중조합 결과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Envelope된 평가 하중조합 결과가 아닌 개별 평가 하중조합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개별 하중조합의 Link 내력 결과를 합산할 때에는 부호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기술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따라하기 모델(PSC Beam 다주식 내진성능평가)을 이용하여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시 모델의 시점부 교대에는 총 8개의 받침이 배치되어 있고, 탄성받침으로 모든 받침이 교축/교축직각방향 모두 강성을 갖고 있습니다. 받침 Link의 번호는 1번~8번 입니다.

 1번~8번 Link까지의 각 하중조합 결과를 엑셀로 옮겨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교축 방향에 대한 소요성능은 eLCB5(max)하중조합에 의해 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CIVIL에서 Elastic Link의 Result Table 데이터는 절점 기준으로 출력되므로  Link 내력을 합산 후 절반으로 나눈 값으로 비교해야 하는 점 주의 바랍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