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eGen 생성 편집

[eGen] 슬래브 강도비 NG 해결

질문 

슬래브 부재의 강도비 NG 해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강도비 NG를 해결하기 전 우선적으로 두 가지를 검토해주시기 바랍니다.

1. 구조선 연결 확인

인접한 각 부재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절점과 구조선을 공유해야 합니다. 

와이어프레임(Ctrl+H) 상태로 모델링을 확인하여 인접한 부재들의 구조선 연결이 적절한지 확인바랍니다.

2. 하중 확인

입력된 바닥하중이 과대하지는 않은지 전처리모드에서 확인바랍니다.

입력된 바닥하중은 [보기/감추기(Ctrl+E)] ▶ [하중]탭 ▶ [슬래브(마감)하중] 을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슬래브 - RC슬래브. RC경사로

1. 배근 조정

철근직경을 키우거나 배근간격을 줄여서 철근량을 늘리면 휨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두께 조정

전처리모드에서 부재 두께를 키우면 휨과 전단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크기 축소

하부에 구조벽이나 보를 추가하여 슬래브 크기를 줄이면 부재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강성계수 조정 

배근량이나 두께 등 설계결과를 변경할 수 없고, 일부 국부적인 구간에서 부재력이 커서 NG가 발생한다면 부재의 강성계수를 조정하여 부재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FAQ : 슬래브 강성조정계수 활용>

 

5. 전이부재지정 확인

전이부재로 지정한 슬래브에는 '특별지진하중'이 반영되어 부재력이 늘어납니다.

수직불연속, 기둥, 벽을 직접 지지하는 슬래브가 아니라면 전이부재지정을 해제하여 부재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FAQ : 올바른 전이부재 지정 방법>

 

6. 구조배치 변경

전이슬래브의 경우, 상부 수직불연속 부재를 수직연속 조건이 되도록 구조배치를 변경하거나 수직불연속벽체를 비구조벽으로 변경하면 전이부재지정을 해제하여 부재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FAQ : 올바른 슬래브 모델링 방법>

 

7. 강도 조정

콘크리트 강도(fck)와 철근 강도(fy)가 클수록 강도비가 줄어듭니다.

 

 

슬래브 - 데크슬래브

1. 골방향 확인

일반적으로 골방향은 단변방향으로, 또는 주변 슬래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됩니다. 아래 자료를 참고하여 골방향을 확인하고, 골방향이 장변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면 골방향을 변경하거나 작은보를 추가하여 골방향 길이를 줄이는 것이 적절합니다.

바닥하중이 크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골방향 길이는 3m 내외로 계획합니다.

<FAQ : 데크슬래브 골방향>

 

2. 보 추가

보를 추가하여 골방향 단변길이를 줄이면 부재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단면 변경

골데크 슬래브의 단면 종류나 Con'c 두께(Thk)를 변경하면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배근 조정

X1~X3 철근 직경을 키우면 휨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철근 간격은 골데크슬래브 단면에 의해 결정되므로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5. 시공시 결과

시공시 결과값은 고정하중과 시공하중을 토대로 계산합니다. 시공시 결과 항목에서 휨 강도비 NG 비율이 크지 않다면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하중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고정하중은 슬래브 두께에 의해 결정되고, 시공하중은 [해석설계 기본설정] 에 입력되어 있습니다.

 

시공하중은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하중 및 작업자 하중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1.0~1.5kN/㎡ 을 사용합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