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RC Structure 생성 편집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 경계조건

 

경계조건

Structure-Wizard-Rahmen Culvert Auto Generation-경계조건.png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경계조건 대화상자

상시 검토

모델의 상시 검토를 위한 경계조건 설정

 

지진시 검토

모델의 지진시 검토를 위한 경계조건 설정

NOTE.png 경계조건 탭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일 경우에만 활성화되며, 상시 검토는 항상 Check On되어 있습니다.

 

구조물 폭

경계조건이 설정될 구간에 대한 구조물의 폭을 입력합니다.

종방향 폭(L)

구조물의 종방향 폭

횡방향 폭(B)(두께 고려)

구조물의 횡방향 폭

상부 슬래브 : 모델 탭의 구조물 폭(W) + 좌측 최외곽 벽의 두께/2 + 우측 최외곽 벽의 두께/2

하부 슬래브 : 모델 탭의 구조물 폭(W) + 좌측 최외곽 벽의 두께/2 + 우측 최외곽 벽의 두께/2

외측 벽 : 모델 탭의 구조물 높이(H)

NOTE.png 두께가 고려된 구조물의 횡방향 폭은 모델 탭의 입력 정보에 의해 자동 계산된다. 체크박스에 Check On을 할 경우, 횡방향 폭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NOTE.png 구조물 형식이 "암거 > 복층" 일 경우, 좌/우측 최외곽 벽 : 상세 옵션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를 적용한 경우, 상부슬래브는 층 번호가 작은 벽의 두께를 적용하고, 하부슬래브는 층 번호가 큰 벽의 두께를 적용한다.

 

지반 탄성계수 (E0)

상시 지반반력계수를 구한기 위한 지반 탄성계수의 값을 입력합니다.

 

추정계수(α)

상시, 지진시에 따라 추정계수의 값을 입력합니다.

 

탄성계수 (E0)

 

추정계수(α)

상시 지진시
지름 30cm의 강체원판에 의한 평판재하시험을 반복시킨 곡선에서 구한 탄성계수의 1/2 1 2
보링 공내에서 측정한 탄성계수 4 8
공시체의 1축 또는 3축 압축시험에서 구한 탄성계수 4 8
표준관입시험 N값에서 E0=28N으로 추정한 탄성계수 1 2

 

λ(지진시)

지진시 지반반력계수로부터 전단 지반반력계수를 구하기 위한 계수값을 입력합니다.

계수값은 1/4 ≤ λ ≤ 1/3 이어야 합니다.

 

 

보정계수(지진시)(C)

성능수준별 지반변형에 대한 보정계수 값을 입력합니다.

기능수행 수준의 C=1.0 일 경우, 붕괴방지 수준의 C=0.8 또는 C=1.0

기능수행 수준의 C=0.8 일 경우, 붕괴방지 수준의 C=0.5

NOTE.png

기능수행 : 중간 이하의 규모를 가진 지진에 대해서는 구조부재들이 탄성영역 내에서 저항하여 심각한 손상을 입지 않아야 한다.

붕괴방지 :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에 의한 지반진동에 의해서도 구조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붕괴되어서는 안되며, 가능하면 지진에 의한 피해의 예측이 가능하고 피해조사와 보수를 위해 현장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하여야 한다.

 

지반 특성(지진시)

지진시 구조물의 지반 특성 값을 입력합니다.

분류

구조물의 지반 분류 설정

지반종류

구조물의 지반 종류 설정

 

지반 분류 지반종류의 호칭
Sa 경암지반
Sb 보통암지반
Sc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또는 연암지반
Sd 단단한 토사지반
Se 연약한 토사지반

 

N치

지반의 N치를 입력

지반이 "점성토"인 경우, 1 ≤ N ≤ 25

지반이 "사질토"인 경우, 1 ≤ N ≤ 50

NOTE.png N치란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KS F 2307-7)에서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로드 선단 샘플러를 지반에 30c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를 말한다.

 

포아송 비(ν)

지반의 포아송 비를 입력

 

지반 반력계수

클릭 시 계산된 상시, 지진시(기능수행, 붕괴방지)의 지반 반력계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