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 Wizard 하중 대화상자
하중조합 자동생성
상시 및 지진시의 하중조합 자동생성을 위한 항목 및 기준을 설정합니다.
상시
상시 검토에서 고려할 하중조합을 자동생성
KSCE 2010 : 대한토목학회의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 의한 하중조합
KCI 2012 : 한국콘크리트학회의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에 의한 하중조합
KSCE 2010 + KCI 2012 : 각 기준의 하중조합 모두 생성
지진시
지진시 검토에서 고려할 하중조합을 지하공동구 내진설계기준에 의해 자동생성
Rahmen/Culvert Auto Generation에서 암거는 응답변위법, 라멘은 등가정적법을 통해 지진시 검토를 수행한다.
상시 하중
상시 하중에서 고려할 값을 선택하고, 값을 입력합니다.
자중
단위 중량 : 클릭시 철근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토사(건조, 습윤), 지하수, 포장, 방수몰탈의 단위 중량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습니다.
토압
지반의 내부마찰각
지하수
지하수위면의 높이
포장하중
포장 두께 x 포장 단위중량
방수몰탈 하중
방수몰탈 두께 x 방수몰탈 단위중량
포장하중과 방수몰탈 하중은 토압이 Check On된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구조물 형식이 노출 라멘일 경우, 상재토압 하중은 계산되지 않는다.
활하중
자동 계산 : 지하철 시방규정에 맞는 하중을 상부슬래브에 재하할 수 있습니다.
하중산출 근거 : 클릭시 토피고에 따른 활하중 자동계산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 차량 재하 : 시방서에서 제시하는 기준 차량을 선택하여 활하중으로 재하할 수 있습니다. (DB-24, DB-18, DB-13.5, DL-24, DL-18, DL-13.5, LS-22)
구조물 형식이 "라멘 > 노출 라멘"일 경우 기준 차량 재하이고, 이외의 구조물 형식은 자동 계산된다.
도상 및 궤도하중
을 클릭하면 도상 및 궤도하중에 필요한 값들 입력하는 대화상자가 생성됩니다.
도상 및 궤도하중은 기준 차량 재하 중 LS-22 선택 시에만 활성화 됩니다.
추가 고정하중
슬래브에 추가 고정하중을 재하
기계 하중
슬래브에 장비하중을 재하
물탱크 하중
슬래브에 물탱크 하중을 재하
군중 하중
슬래브에 군중 하중을 재하
하중재하 위치 : 하중이 재하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동바리 하중
시공시의 동바리하중을 재하
추가 고정하중, 기계 하중, 물탱크 하중, 군중 하중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일 경우에만 활성화 되고, 동바리 하중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 > 복층(지하철 정거장)"일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온도 하중
상부 슬래브의 온도하중
초기 온도 : 클릭시 Structure Type 대화상자가 호출되며 초기 온도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최종 온도
온도 구배
상부 슬래브의 온도구배
건조 수축
건조수축 변형률과 열팽창계수를 입력하면 온도하중으로 자동치환되어 적용
온도하중(ΔT) = 건조수축변형률(εsh) / 열팽창계수(α)
지점침하 하중
지점침하(Settlement) 하중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지점침하 하중은 라멘 선택 시에만 활성화 됩니다.
프리스트레스 하중
지점침하(Settlement) 하중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클릭시 프리스트레스 하중 입력창 생성
Tension : Pretension Force ( 양수만 허용)
Di : 보요소의 시작점(i 쪽 또는 N1단부 )에서 요소좌표계 ± z방향으로의 Cable Drape
Dm : 보요소의 중앙점에서 요소좌표계 ± z방향으로의 Cable Drape
Dj : 보요소의 끝점(j 쪽 또는 N2단부)에서 요소좌표계 ± z방향으로의 Cable Drape
지진시 하중
지진시 고려해야 할 하중 값을 입력합니다.
암거 (응답변위법)
지진시 하중은 구조물 형식이 "암거"이고, 경계조건 탭의 지진시 검토를 Check On한 경우에만 활성화 된다.
재현주기(년) : 위험도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지진하중의 재현주기
내진성능 목표
재현주기 | 기능수행 | 붕괴방지 |
---|---|---|
50년 | II등급 | |
100년 | I등급 | |
200년 | 특등급 | |
500년 | 특등급 | |
1000년 | I등급 | |
2400년 | II등급 |
위험도 계수
재현주기 | 위험도 계수(I) |
---|---|
50년 | 0.40 |
100년 | 0.57 |
200년 | 0.73 |
500년 | 1.00 |
1000년 | 1.40 |
2400년 | 2.00 |
지진구역
지진구역 | 행정구역 | |
---|---|---|
I | 시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
도 | 경기도,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 |
II | 도 |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도 |
기반암 심도(H) : 상부슬래브 및 측벽 지반변위 하중 산정을 위한 기반암 심도
라멘(등가정적법)
지진구역
지진구역 | 행정구역 | |
---|---|---|
I | 시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
도 | 경기도,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 |
II | 도 |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도 |
위험도계수
재현주기 | 위험도 계수(I) |
---|---|
50년 | 0.40 |
100년 | 0.57 |
200년 | 0.73 |
500년 | 1.00 |
1000년 | 1.40 |
2400년 | 2.00 |
지반계수
<표 510.1.5> 지반계수(S)
지반계수 | 지반종류 | |||
---|---|---|---|---|
Ⅰ | Ⅱ | Ⅲ | Ⅳ | |
S | 1.0 | 1.2 | 1.5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