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midas eGen에서 업무시설 칸막이벽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건축구조기준에서 일반사무실 용도 활하중은 2.5kN/㎡으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midas eGen에서 건물 용도(소분류)를 공공/일반업무시설로 선택하면 자동 입력되는 활하중은 2.5kN/㎡입니다. 그런데 가동성 경량칸막이벽이 설치될 가능성이 있다면 칸막이벽 하중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칸막이벽 하중
건축구조기준에서 활하중에 대한 내용 중에는 칸막이벽 하중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KDS 41 12 00, 3.2.3 칸막이벽 하중 (1) 사무실 또는 유사한 용도의 건물에서 가동성 경량칸막이벽이 설치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칸막이벽 하중으로 최소한 1 kN/㎡를 기본등분포활하중에 추가하여야 한다. 다만, 기본활하중 값이 4 kN/㎡ 이상인 경우에는 이를 제외할 수 있다. |
따라서 도면에 칸막이벽이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추후에 설치될 것이 예상된다면 1 kN/㎡이상의 활하중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조적조 벽은 고정하중으로 적용합니다.
* 1 kN/㎡ 보다 큰 중량의 칸막이 벽은 실제하중을 적용합니다.
해결방법
Alt 1. 일반사무실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의 바닥 활하중을 2.5 → 3.5kN/㎡ 으로 적용합니다.
Alt 2. 조적조 벽은 모델에 [비구조 부재]로 생성하면 중량이 자동 반영됩니다.
* 데크슬래브는 등분포바닥하중을 토대로 설계하는 부재이므로
비구조 부재를 생성하거나점하중, 선하중을 입력하더라도
집중하중이 반영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