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시간이력해석에서 시간스텝(step)별로 구조물의 변위, 속도, 가속도 응답을 확인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Results] 탭 > [Type : Time History Analysis] > [Time History Analysis] 그룹 > [T.H Results] > [Force(Beam/Wall/Truss/General Link)]
입력
Force (Beam/Truss/General Link) 대화상자
Function
응답함수를 선택합니다.
Time History Load Case Name
Time History Load Case 기능에서 입력된 시간이력해석 조건을 선택합니다.
Step
해석결과를 출력할 단계(Step)을 지정합니다.
Time Function
사용할 시간하중함수를 목록판에서 선택합니다.
Displ. : 모델의 변위응답 상태를 확인합니다.
Velo. : 모델의 속도응답 상태를 확인합니다.
Accel. : 모델의 가속도응답 상태를 확인합니다.
Components
출력하고자 하는 변위 성분을 선택합니다.
Fx : 요소좌표계 x축 방향 축력
Fy : 요소좌표계 y축 방향 전단력
Fz : 요소좌표계 z축 방향 전단력
Mx : 요소좌표계 x축에 대한 비틀림모멘트
My : 요소좌표계 y축에 대한 휨모멘트
Mz : 요소좌표계 z축에 대한 휨모멘트
Type of Display
출력형태를 정의합니다.
1. Contour
보요소에 발생한 요소내력을 등고선도로 나타냅니다.
Ranges : 등고선도의 영역을 지정합니다.
Customize Range... : 등고선도의 색상구분 영역을 지정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범위에 대해 특정색상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Number of Colors : 등고선도에 포함할 색상수 지정(6, 12, 18, 24개 색상중 선택)
출력값의 최대, 최소값보다 바깥의 값을 Contour Range Max/Min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습니다.
Min/Max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범위를 넘는경우에는 Min/Max는 Rank 0과 Rank 11에 입력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Colors : 등고선도의 색상을 지정 또는 조정합니다.
Color Table : Color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Customize Color Table... : 등고선도의 각 영역별 색상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Reverse Contour : Check on하면 등고선도의 색상변화 순서를 역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tour Line : 등고선도 경계선의 색상을 지정
Element Edge : 등고선도를 나타낼때 요소 외곽선의 색상을 지정
Contour Options : 등고선도의 표현방식을 지정합니다.
Contour Fill
Gradient Fill : 등고선도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색조확산처리하여 표현합니다.
Draw Contour Lines : 등고선도에서 색상별 경계선을 표현합니다.
Draw Contour Line Only
등고선도의 색상별 경계선만을 표현합니다.
Mono line : 등고선도의 색상별 경계선을 단색으로 표현합니다.
Contour Annotation : 등고선에서 각 영역을 구분하는 주석을 표시합니다.
Spacing : 표시되는 주석의 간격지정
Coarse Contour(faster) (for large plate or solid model) : 판요소나 입체요소를 사용한 대형 모델에서 등고선도를 표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간략한 등고선도를 표현합니다
Extrude : 판요소 또는 Cutting Plane을 적용한 입체요소의 등고선도를 표현하는 경우, 요소좌표계 z축 방향을 해석결과값의 양의 방향으로 적용한 3차원 등고선도로 표현합니다.
이 옵션은 변형도(Deform)옵션과 함께 적용할 수 없고, 판요소의 두께가 표현되는 Hidden옵션이나 Top&Bottom의 부재력(응력)을 동시에 표현하는 Both옵션에서도 적용할 수 없습니다.
2. Deform
모델의 변형도를 나타냅니다.
Deformation Scale Factor
모델 윈도우에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변형량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합니다.
Deformation Type
변위출력형식을 결정합니다.
Nodal Deform : 절점변위로만 변형도를 나타냅니다.
Real Deform : 절점변위와 함께 보요소의 경우, 양 단부 사이의 구간에 대해서도 보요소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세변형량을 계산하여 나타냅니다.
Real Displacement(Auto-Scale off) : 변형량을 임의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지 않고 실제 변형량 그대로 그래픽으로 출력합니다. 대변형을 고려한 기하비선형 해석시 주로 적용됩니다.
Relative Displacement : 화면에 표현된 절점의 최소변위를 "0"으로 놓고, 이에 대한 상대변위를 그래픽으로 출력합니다.
Undeformed : 변형도에 변형전의 모델형상을 추가로 나타냅니다.
변형전 모델형상의 표현방법은 Display Option 기능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Values
절점에 발생된 변위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숫자의 글꼴이나 색상은 Display Option 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Decimal Points : 출력되는 수치의 소수점이하 자릿수 지정
Exp. : 지수형으로 표현할지 여부를 선택
MinMax Only
Min & Max : 최대, 최소값 표시
Abs Max : 절대값이 최대인 수치를 표시
Max : 최대값만 표시
Min : 최소값만 표시
Limit Scale(%) : 선택된 최대 혹은 최소값을 중심으로 (Max-Min)*Limit Scale 범위의 절점변위를 모두 표시
Set Orientation : 수치의 기록방향 설정
Decimal Points의 초기값은 Preferences에서 조정할 수 있다.
Set Orientation의 "0"은 화면에서 절점 또는 요소의 우측으로 수평하게 기록되며, Orientation은 반시계방향의 각도로 적용된다. 적절한 각도를 입력하면 수치 출력시 가독성을 크게 향상 시킬수 있다.
4. Legend
작업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해석결과에 대한 각종 참조사항을 정리하여 출력합니다.
최대, 최소변형이 발생하는 절점번호가 출력됩니다.
Legend Position : 출력화면에서 Legend의 위치지정
Rank Value Type : Legend 값의 출력형태와 소수점 자리수 지정
5. Animate
변형과정을 동적으로 묘사합니다.
Apply 버튼을 클릭한 후, 작업화면 하단의 동적묘사제어판 우측의 Record 를 클릭합니다.
Animation Mode : 해석결과의 동적묘사방법을 결정합니다.
시간이력해석 단계(step)별 하중시간표시 및 모델의 변형상태를 확인한다.
Animate Contour : 동적묘사의 변형량에 따라 변형을 표현하는 등고선도의 색상을 변화시킬지 여부지정
Repeat Half/Full Cycle : 동적 변형과정의 반복표현주기 선택
구조물의 변형도는 'Half Cycle'을, 진동모드나 좌굴모드를 동적으로 묘사할 때는 'Full Cycle'을 선택한다.
AVI Options : 동영상 화면의 제작에 필요한 각종 설정사항을 입력합니다.
Bits per Pixel : 동적화면의 기초화면을 만들때 사용되는 Pixel당 색상수
Compressor... : 화상데이터의 압축방법 지정
Frames per Half Cycle : 'Half Cycle'을 묘사하는데 사용할 기초화면의 개수
Frames per Second : 동적묘사시 표현할 초당 기초화면의 개수
Construction Stage Option : 시공단계별 해석을 수행한 경우의 애니매이션 방법을 지정합니다.
Stage Animation : 시공단계별 애니매이션
Current Stage-Step : 현재 시공단계에서 Step별 애니매이션
From ~ To : 애니매이션의 시작과 끝이 될 시공단계 또는 Step 선택
Start Time : 해석결과의 동적묘사 시작시간을 입력합니다.
End Time : 해석결과의 동적묘사 종료시간을 입력합니다.
Increment : 동적묘사시 해석결과를 표현할 시간증분을 입력합니다.
Set Default Time : 동적묘사에 사용될 시간을 초기상태로 설정합니다.
Output Section Location
보요소의 내력을 수치로 출력할 위치를 지정합니다.
I : 보요소의 시작절점(N1)에 발생한 내력을 수치로 나타냅니다.
Center : 보요소의 중심에 발생한 내력을 수치로 나타냅니다.
J : 보요소의 끝절점(N2)에 발생한 내력을 수치로 나타냅니다.
Abs Max : 보요소를 4등분 한 위치에서 발생한 휨모멘트중 절대값의 최대값을 요소의 중심에 수치로 나타냅니다.
Min/Max : 보요소를 4등분 한 위치에서 발생한 휨모멘트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요소의 해당 위치에 수치로 나타냅니다.
All : 보요소의 시작 절점, 끝 절점 그리고 중심에 발생한 휨모멘트를 동시에 수치로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