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해석결과 발생한 보요소의 내력과 응력을 Spread Sheet 형식의 테이블로 확인합니다.
- CIVIL 의 Table Tool은 강력하고 다양한 각종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용법은 Table Tool의 사용법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Results] 탭 > [Type : Analysis result] > [Table] 그룹 > [Result Tables] > [Beam] > [Force & Stress]
입력
Beam > Force & Stress Table 기능을 실행하면 Records Activation Dialog가 호출되고 여기에서 출력대상 절점과 요소, 하중조건, 시공단계 등을 선택한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Beam Force를 확인하는 경우 Current Step Result를 선택하면 현단계의 부재력을 출력합니다.
Elem : 요소번호
Load : 단위하중(조합)조건
Stage : 시공단계
Step : 단계
Beam Force
Part : 요소내력의 출력위치
Axial : 축력
Shear - y : 요소좌표계 y축 방향 전단력
Shear - z : 요소좌표계 z축 방향 전단력
Torsion : 요소좌표계 x축에 대한 비틀림모멘트
Moment - y : 요소좌표계 y축에 대한 휨모멘트
Moment - z : 요소좌표계 z축에 대한 휨모멘트
Beam Stress
Part : 요소응력의 출력위치
Axial : 축응력
Shear - y : 요소좌표계 y축 방향 전단응력
Shear - z : 요소좌표계 z축 방향 전단응력
Bend(+y) : 휨모멘트(Mz)에 의한 요소좌표계 +y방향 단면 최외각(측면)의 축방향 응력
Bend(-y) : 휨모멘트(Mz)에 의한 요소좌표계 -y 방향 단면 최외각(측면)의 축방향 응력
Bend(+z) : 휨모멘트(My)에 의한 요소좌표계 +z 방향 단면 최외각(상면)의 축방향 응력
Bend(-z) : 휨모멘트(My)에 의한 요소좌표계 -z 방향 단면 최외각(하면)의 축방향 응력
해석결과 Table에서 Stage와 Step 열은 교량의 시공단계 해석이나 수화열의 시공단계 해석시 출력됩니다. Step 열은 기하비선형 해석시에도 출력됩니다.
Cb(min/max) : Cb1, Cb2, Cb3, Cb4 중에서 최대 또는 최소값
Cb1(-y+z) : Axial+ Bend(-y) + Bend(+z)
Cb2(+y+z) : Axial+ Bend(+y) + Bend(+z)
Cb3(+y-z) : Axial+ Bend(+y) + Bend(-z)
Cb4(-y-z) : Axial+ Bend(-y) + Bend(-z)
View by Max Value Items
이동하중, 지점침하, 시간이력해석에서 특정항목의 최대, 최소값 발생조건 시 다른 항목의 부재력/응력을 동시에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Force나 Stress를 선택하여 테이블 상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View by Max Value Item을 클릭합니다.
Items to Display : Min 또는 Max 값의 기준이 될 부재력/응력 성분을 선택합니다.
Load Cases to Display : 이동하중, 지점침하, 시간이력 하중, 또는 이러한 하중이 포함된 하중조합 중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하중경우를 선택합니다.
Component : 동시성이 있는 나머지 부재력을 출력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부재력 성분
Result By Max Value [Beam Force]는 Sorting이 되지 않으므로 View by Max Value Item을 실행하기 전 원하는 출력형식으로 Sorting한 후 실행한다. View by Max Value Item기능을 이용하여 이동하중에 대한 특정항목의 최대,최소값 발생조건 시 다른 항목의 부재력을 동시에 출력하려면 Analysis>Moving Load Analysis Control Data에서 「Normal + Concurrent Force/Stress」를 선택해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