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KSCE-LSD15 생성 편집

Steel Code Check

기능

  • 기준강도 검증결과와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철골부재와 하중조합에 대해 검토결과를 출력합니다.
  • 사용자가 선택한 철골부재의 단면검토 및 방향을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부재별 검토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teel Code Check기능은 활하중 감소계수, 지진하중 응답수정계수와 이동하중을 반영하여 전체적인 부재 설계에 대한 내용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MODS] 탭 > [Design] 그룹 > [Steel Design] > [KSCE-LSD15] > Steel_Code_Check.png [Steel Code Check] / 단축키 : [F8]

 

출력

강도검증 출력결과는 부재(Member)별 또는 단면(Property)별로 최대 조합응력비(조합강도비)를 갖는 위치 및 하중조합조건의 강도검증 결과를 출력합니다.

강도검증 결과는 사용자선택 단위계를 기준으로 출력합니다.

 

KSCE-ASD96

KSCE-ASD96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pngKSCE-ASD96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CHK : 부재별 강도검증결과의 표시

"OK"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OK*"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이하이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큰 경우

"NG"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작은 경우

"NG*" : 조합응력비와 전단응력비가 1.0을 초과하고, 세장비가 허용세장비보다 큰 경우

 

MEMB : 부재번호

 

SECT : 단면번호

 

COM : 최대 조합응력비 (Maximum Combined Interaction Ratio)

 

SHR : 전단력에 대한 응력비 (발생전단응력/허용전단응력)

 

SEL : 단면변경, 재검토, 결과출력을 위한 부재선택

Note : SpaceBar Key로 선택 및 취소할 수 있다.

 

Member Name : 사용자 입력 및 프로그램 내부 단면명칭

 

Material : 사용자 입력 및 프로그램 내부 재질명칭

 

Fy : 항복강도

 

LCB : 최대 조합응력비가 발생하는 하중조합조건번호

 

Len : 해석모델의 절점좌표를 기준으로 계산된 부재길이

 

Ly, Lz : 부재의 강축(Local-y) 및 약축(Local-z)에 대한 비지지길이

 

Lb : 부재압축측 플랜지의 횡지지길이

 

Ky, K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유효좌굴길이계수

 

fa : 부재 축방향 발생압축응력

 

fby, fb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발생휨응력

 

Pa : 부재의 소요축강도(Pa > 0 : 인장, Pa < 0 : 압축)

 

My, 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소요휨강도

 

Cm : 강축방향 휨모멘트에 대한 휨계수(Bending Coefficient)

 

Fa : 부재축방향 허용압축응력(허용인장응력)

 

FBy, FB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허용휨응력

 

AASHTO-LRFD02 or AASHTO-LFD96

AASHTO-LRFD02 or AASHTO-LFD96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AASHTO LRFD02.png

AASHTO-LRFD02 or LFD96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Cb : 강축방향 휨모멘트에 대한 휨계수(Bending Coefficient)

 

Ky, K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유효좌굴길이계수

 

B1y, B1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모멘트 확대계수로 횡이동(Sidesway)에 대하여 버팀지지된 골조에서 수직하중에 대한 모멘트 확대계수

 

B2y, B2z : 횡이동(Sidesway)에 대하여 버팀지지되지 않은 골조에서 수평하중에 의한 모멘트 확대계수로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값

 

Pu : 부재축방향 소요축강도

 

Muy, Mu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소요휨강도

 

phiPn : 부재축방향 설계축강도

 

pMny, pMn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설계휨강도

 

이 외의 항목은 KSCE-ASD96과 동일합니다.

 

AASHTO-ASD96

AASHTO-ASD96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AASHTO ASD96.png

AASHTO-ASD96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Cb : 강축방향 휨모멘트에 대한 휨계수(Bending Coefficient)

 

Cmy, C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모멘트계수(Moment Coefficient)

 

이 외 항목은 KSCE-ASD96과 동일합니다.

 

Eurocode3-2:05

Eurocode3-2:05

 

Bmy, B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모멘트 확대계수에 대한 조정계수

 

N_Ed : 설계축력

 

N_Rd : 설계축저항력

 

MbEd : 설계좌굴모멘트

 

Mb_Rd : 설계좌굴저항모멘트

 

MyEd, MzEd: 설계휨모멘트

 

My_Rd, Mz_Rd : 설계휨저항모멘트

 

Def : 사용한계상태의 발생처짐

 

Defa : 사용한계상태의 허용처짐

 

이 외 항목은 KSCE-ASD96과 동일합니다.

 

BS5950-90

BS5950-90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BS5950.png

BS5950-90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n : 강축방향 휨모멘트에 대한 허용휨응력 보정계수(Slenderness correction factor, AIK-ASD83의 1/Cm과 동일)

 

m_y, m_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하여 모멘트 확대계수에 대한 조정계수(Equivalent uniform moment factor)

 

Fa : 부재축방향 설계부재력

 

Pa : 좌굴 계수모멘트(Equivalent uniform moment)

 

M_bar : 좌굴 계수모멘트(Equivalent uniform moment)

 

Mb : 좌굴 저항모멘트(Buckling resistance moment capacity)

 

My : 부재의 강축에 대한 발생휨모멘트

 

Mcy : 부재의 강축에 대한 설계휨모멘트

 

Mz : 부재의 약축에 대한 발생휨모멘트

 

Mcz : 부재의 약축에 대한 설계휨모멘트

 

기타 내용은 KSCE-ASD96과 동일합니다.

 

IS800-1984

IS800-1984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IS800 1984.png

IS800-1984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Cb : 강축방향 휨모멘트에 대한 휨계수(Bending Coefficient). (AIK-ASD83의 Cm과 동일)

 

Cmy, Cmz : 부재의 강축 및 약축에 대한 모멘트계수(Moment Coefficient)

 

기타 내용은 KSCE-ASD96과 동일합니다.

 

AISC-LRFD2K

AISC-LRFD2K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AISC LRFD2K.png

AISC-LRFD2K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기타 내용은 AASHTO-LRFD02과 동일합니다.

 

AISC-LRFD93

AISC-LRFD93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AISC LRFD93.png

AISC-LRFD93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기타 내용은 AASHTO-LRFD02과 동일합니다.

 

AISC-ASD89

AISC-ASD89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AISC ASD89.png

AISC-ASD89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기타 내용은 AASHTO-ASD96 과 동일합니다.

 

JTJ025-86

JTJ025-86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JTJ025.png

JTJ025-86 Code Checking Result 대화상자

기타 내용은 KSCE-ASD96 과 동일합니다.

 

입력

공통 Control

Code : 강도검증에 적용된 규준을 나타냅니다.

 

Unit : 사용자 선택 단위계를 나타냅니다.

 

Sort by

Sorted by Member : 개별부재에 대한 설계 결과를 표시합니다. 정렬 순서는 아래의 "Primary Sorting Option"에 따릅니다.

Sorted by Property : 같은 Property Name을 가지고 있는 부재 중 설계결과가 가장 불리한 부재들만을 각 단면별로 출력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 후 'SEL'기능을 이용하여 단면을 선택하면 해당 단면에 속한 전체부재가 선택됩니다. 또한 이 옵션을 선택하면 MEMB(부재번호)는 '0'으로 출력됩니다.

 

Primary Sorting Option

자동설계 결과를 부재별로 출력할 때의 정렬 기준을 선택합니다. 단면번호, 또는 부재번호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lect All, Unselect All : 모든 부재를 선택하거나 모든 부재의 선택을 취소합니다.

 

Re-calculation

설계결과 창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부재의 각 설계변수를 재설정하고 그 부재만을 재설계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Result Dialog상에서 재설계를 실행할 경우 동일 단면도 동일하게 변경됩니다.

NOTE.png 설계된 부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계변수(Modify Steel Material 등)를 수정할 때는 설계결과가 삭제되므로 이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Connect Model View

Connect Model View 선택 후 원하는 부재 선택 시 화면상에 해당 선택 부재가 선택되어 보여집니다.

>> : 강도검증 결과를 세부적으로 보여줍니다.

<< : 강도검증 결과를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Grapic : 선택 부재에 대한 강도 검증 결과의 요약 계산서를 출력합니다.

 

Result View Option

All : 강도검증된 전체결과를 Checking Result 대화상자에 출력합니다.

OK : 강도검증된 결과 중 OK된 결과를 Checking Result 대화상자에 출력합니다.

NG : 강도검증된 결과 중 NG된 결과를 Checking Result 대화상자에 출력합니다.

 

Summary by LCB

선택된 부재의 전체 하중조합에 대한 강도검증 결과를 출력합니다.

 

Close : 설계결과 창을 닫습니다.


단면변경

Change : 선택된 부재들의 조건에 맞는 단면을 제안합니다.

Change Steel Properties Dialog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change.png

Member Name : 프로그램 내부 단면명칭

CHK : 단면별 강도검증결과의 표시

"OK" : 단면의 발생응력(소요강도)이(가) 허용응력(설계강도) 범위 내에 있음

"NG" : 단면의 발생응력(소요강도)이(가) 허용응력(설계강도) 범위를 초과함

SEL : 변경하고자 하는 단면을 선택합니다.

LCB : 최대 조합응력비(조합강도비)가 발생하는 하중조합조건번호

COM : 최대 조합응력비(조합강도비) (Maximum Combined Interaction Ratio)

SHR : 전단력에 대한 응력비(강도비) 발생전단응력/허용전단응력(소요전단강도/설계전단강도)

H : 단면의 높이

B : 단면의 폭

Area : 단면의 단면적

 

Property No. : 변경할 단면번호 선택

Open MCB File : 단면 DB로 사용할 MCB 파일 열기 (사용자에 의해 단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MCB 파일은 사용가능하고, DB/User Section만 DB 구축에 포함)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change 1.png : 변경하고자 하는 단면의 DB 결정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change 2.png : 변경하고자 하는 단면의 형상 결정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change 3.png

변경하고자 하는 단면치수 범위 결정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면과 일부치수가 같은 단면으로 범위를 설정할 경우는 CheckBox를 지정하고, 범위를 지정할 경우, From과 To에 사용하고 있는 단위에 맞게 치수를 입력합니다.

알고 있는 치수로 변경단면을 설정할 경우는 From에만 해당치수를 입력합니다.

Limit Combined Ratio from : 변경할 단면의 조합응력비(조합강도비) 범위 결정

Search Satisified Section : 조건에 맞는 단면 강도검증결과 수행 및 출력

조건에 맞는 철골단면을 출력할 시 조건에 현재단면의 조건이 포함되면 보라색으로 굵게 출력이 됩니다.

 

Print All Properties : 조건에 맞는 단면의 Properties를 Mct file로 출력

Sort by : 단면 강도검증결과 출력 Sorting 기준 선택

NOTE.png H, B 혹은 A를 기준으로 해당단면을 정렬하는 경우, 만일 H를 기준으로 정렬하였는데 동일한 크기가 검색되었다면 B를 기준으로 2차정렬이 수행되며, Area를 기준으로 정렬하였다면 2차정렬은 H와 B 순서로 수행됩니다.

 

Change & Close : 선택된 단면으로 강도검증을 수행한 후, Steel 강도검증 결과 파일(.GD1)에 변경된 결과를 저장하고 종료

Change : 선택된 단면으로 강도검증을 수행한 후, Steel 강도검증 결과파일(.GD1)에 변경된 결과를 저장

Close : 대화창을 닫습니다.

 

Member Name : 프로그램 내부 단면명칭

CHK : 단면 강도검증결과의 표시

OK : 단면의 발생응력(소요강도)이 허용응력(설계강도) 범위 내에 있음

NG : 단면의 발생응력(소요강도)이 허용응력(설계강도) 범위를 초과함

SEL : 변경하고자 하는 단면을 선택합니다.

LCB : 최대 조합응력비(조합강도비)가 발생하는 하중조합조건번호

COM : 최대 조합응력비(조합강도비)(Maximum Combined Interaction Ratio)

SHR : 전단력에 대한 응력비(강도비) 발생전단응력/허용전단응력(소요전단강도/설계전단강도)

H : 단면의 높이

B : 단면의 폭

Area : 단면의 단면적


변경단면 Update

Update : 강도검증 후 변경된 단면을 모델링 정보에 Update합니다.

Update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update.png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update 1.png

Properties Before Changed : 해석수행시 적용된 단면정보

Properties After Changed : 최종 강도검증 수행후 변경된 단면정보

Select All Changed Properties : 변경된 단면만 자동 선택

Remove All : 전체 선택 취소

<- : 선택된 단면을 모델링 정보에 Update합니다.

Close : 종료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update 1.png

 

NOTE.png Update 기능으로 변경된 단면이 데이터베이스(DB)에서 지정한 단면이라면 모델데이터의 단면명칭도 DB명칭과 동일하게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강도검증 결과 그래프 출력

View Result Ratio : 부재별, 재료별, 단면별로 강도검증 결과를 그래프 출력합니다.

View Result Ratio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result ratio view.png

Select All : 전체선택

Unselect All : 전체선택 취소

Sort Option : 그래프 출력을 위한 Sorting기준 선택. (SEL 선택을 위한 Table 출력기준 설정)

Graph Option : 그래프 출력형태 선택. (Line, Vertical Bar 중 선택)

Load Combinations for Steel Code Checking : 그래프출력 하중조합조건 결정(All 전체 하중조합조건 중 최대 Ratio 발생 하중조합조건)

Ratio by Components : 출력할 Ratio 종류 선택

Ratio Limit : 출력할 Ratio 범위 설정

Select Elements : Sorting기준, 하중조합조건, Ratio 종류 및 범위를 만족하는 부재 모델뷰에서 선택

Override Graph View : 새로운 View에서 그래프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 설정. (Check된 경우 기존 View에 출력)

Show Graph of Result Ratio : 선택된 조건에 만족하는 부재의 강도검증결과 Ratio 그래프 출력

Close : 종료

MODS-common parameters-steel code check-result ratio view graph.png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