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Pushover 해석결과로 산정되는 밑면전단력과 변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능력곡선(capacity curve)과 능력스펙트럼(capacity spectrum)을 산정합니다. 또한 고려하는 지진하중을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요구스펙트럼(demand spectrum)을 생성합니다.
- 성능스펙트럼과 요구스펙트럼의 최종적인 교차점이 구조물의 비탄성최대내력상태를 의미하는 성능점(performance point)을 나타냅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Poshover] 탭 > [Pushover Results] 그룹 > [Pushover Curve]
입력
Pushover Curve 대화상자
Pushover Load Case
해석을 수행한 Pushover 하중조건을 선택합니다.
전체좌표계의 Z방향으로 지정된 Pushover Load Case가 지정될 경우 Plot Type에서 Load Factor vs. Displacement만 활성화 된다.
Plot Type
출력할 곡선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Base Shear vs. Displacement : 밑면전단력 대 변위곡선
Shear Coefficient vs. Displacement : 전단계수(횡하중/총중량) 대 변위곡선
Shear Coefficient vs. Drift : 전단계수 대 층간변위 곡선
Load Factor vs. Displacement : 하중계수에 대한 변위 곡선 그래프 출력
Plot Type에서 Load Factor vs. Displacement를 지정할 경우 Capacity Spectrum이 비활성화 된다. 수직하중(중력방향)에 대한 수직부재의 좌굴해석 결과를 확인하고 비선형해석을 위해서 수직하중에 의한 Pushover Curve를 확인할 수 있다.
Additional Curves at other Nodes : 곡선을 출력할 다른 절점의 번호
Capacity Spectrum : 하중과 변위를 스펙트럴 가속도(Sa)와 스펙트럴 변위(Sd)로 변환한 능력스펙트럼
Demand Spectrum
Define Design Spectrum... : 요구스펙트럼의 작성에 설계 응답스펙트럼을 적용하기 위하여 내진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설계스펙트럼을 정의합니다.
Demand Spectra at Damping Ratios(%)
입력한 감쇠비를 적용한 요구스펙트럼을 출력합니다.
Constant Period Lines at Period (sec)
입력한 주기에 해당하는 지시선을 출력합니다.
Evaluation of Performance Point
ATC-40에서 제시하는 유효감쇠비(Effective damping ratio)를 이용하여 비탄성 요구스펙트럼을 평가하고, 능력스펙트럼과 비교하여 성능점을 산정합니다.
Procedure-A : 구조물의 비탄성거동에 의한 유효감쇠비를 먼저 평가하고 이에 부합하는 요구스펙트럼을 생성한 후에 반복과정을 거쳐 성능점을 산정하는 방법
Procedure-B : 연성요구도를 가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유효주기와 유효감쇠비를 이용하여 성능점에 대한 궤적선을 평가한 후에 능력스펙트럼과의 교차점을 찾는 방법
Damping Parameters
구조물의 유효감쇠비(Effective damping ratio)를 결정하기 위한 변수를 입력합니다.
Inherent + Additional Damping (%) : 구조물의 보유감쇠와 부가장치에 의한 감쇠를 포함한 전체 구조물의 감쇠비
Structural Behavior Type : 구조물 특성에 따른 구분
Performance Point
스펙트럼상에서의 성능점과 다자유도 시스템으로 치환된 성능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V, D : 성능점에 의한 구조물의 비탄성 최대 밑면전단력과 최대 변위
Sa, Sd : 성능점에서의 응답가속도와 응답변위
Teff, Deff : 성능점에서의 비탄성 유효주기와 유효감쇠
Text Output : Pushover 해석결과 그래프를 텍스트파일로 저장합니다.
Draw : 성능점에 의해 생성된 능력스펙트럼을 화면에 도시합니다.
Additional Step에 의해 생성된 스텝에 대한 결과가 Reference Step이후에 추가적으로 출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