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Pushover Results 생성 편집

Pushover Hinge Status Result

기능

  • 해석 후 스텝별 힌지 결과(힌지상태, 연성도, 변형도, 부재력, 탄성/항복상태 등을 출력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Poshover] 탭 > [Pushover Results] 그룹 > [Hinge Status Result]

 

입력

Pushover-pushover results-pushover hinge status result.png

Pushover Hinge Status Result 대화상자


Time History Load Case Name

Pushover Load Cases에서 입력된 하중조건을 선택합니다.

Step : 해석결과를 출력할 단계(Step)을 지정합니다.


Increment Function

사용할 하중증분함수를 선택합니다.


Type of Result

Hinge Status : 비탄성힌지 상태

비탄성소성힌지 속성에서 정의된 5개 레벨에 의한 수준을 표현합니다.

Ductility Factor (D/D1) : 연성도, 전체변위에 대한 1차항복 변위의 비

Ductility Factor (D/D2) : 연성도, 전체변위에 대한 2차항복 변위의 비

Deformation : 변형도

Plastic Deformation :

Force : 부재력

Status of Yielding : Trilinear/Bilinear타입 힌지의 탄성/항복상태 표현

NOTE.png Pushover Hinge Property의 이력모델에서 정의한 항복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되어 출력된다.
* Trilinear : 탄성, 1st Yield(1차 항복), 2nd Yield(2차 항복)
* Bilinear : 탄성, 1st Yield(1차 항복), 2nd Yield(2차 항복) 힌지타입이 분포형(Distributed)인 경우에는 요소자체에 색으로 구분되며 집중형(Lumped) 또는 범용연결요소인 경우에는 원형의 힌지로 표현된다. 한 요소에 여러 개의 힌지가 존재할 경우 하나의 힌지가 항복상태이면 항복으로 간주하여 표현된다.

Status of Yielding(FEMA) : FEMA 타입 힌지 상태 표현

NOTE.png FEMA : 탄성, IO(즉시거주), LS(인명안전), CP(붕괴방지), 파괴


Components

출력하고자 하는 응력 성분을 선택합니다

Dx : 요소좌표계 x 방향의 변위 성분

Dy : 요소좌표계 y 방향의 변위 성분

Dz : 요소좌표계 z 방향의 변위 성분

Rx : 요소좌표계 x 방향에 대한 회전 성분

Ry : 요소좌표계 y 방향에 대한 회전 성분

Rz : 요소좌표계 z 방향에 대한 회전 성분


Type of Value

Positive : 정(+)방향 최대 변형 표시

Negative : 부(-)방향 최대 변형 표시

Abs Max. : 절대값 최대 변형 표시

OK : 입력한 선택사항을 적용하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Cancel : 입력한 선택사항을 적용하지 않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