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요소에 할당된 Hinge Properties를 테이블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Poshover] 탭 > [Table] 그룹 > [Hinge Properties]
입력
Multi-Linear Type
Element No. : 요소 번호
Element Type : 요소 타입(Beam, Truss, General Link)
Prop. Name : 힌지속성 이름
Defin. : 비선형 요소특성 정의 방법
DOF : 요소에 할당된 비선형 성분
Loc. / Num. : 요소내의 비선형힌지의 위치 / 모멘트-곡률(분산형 힌지)인 경우 적분점 개수
Material Type : 요소재질(Steel, RC, SRC, Masonry)
Interaction Type : 성분의 상관관계 고려(None, P-M-M)
Skeleton Type : 비선형 요소의 뼈대곡선 타입
Input Method : 비선형 속성에 대한 자동계산 또는 사용자 입력
Input Type : 요소의 비선형 거동 표현방법(강도-강성저감율, 강도-항복변형율)
(+, -) Type : 이력곡선의 대칭/비대칭
P1(+) : 1차 항복강도(+)
P1(-) : 1차 항복강도(-)
P2(+) : 2차 항복강도(+)
P2(-) : 2차 항복강도(-)
P3(+) : 3차 항복강도(+)
P3(-) : 3차 항복강도(-)
Alpha Input : 강성저감율의 입력방법(Global Control Data 적용, 사용자 입력)
α1(+) : 1차 항복시 강성저감율(+)
α1(-) : 1차 항복시 강성저감율(-)
α2(+) : 2차 항복시 강성저감율(+)
α2(-) : 2차 항복시 강성저감율(-)
D1(+) : 1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1(-) : 1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2(+) : 2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2(-) : 2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3(+) : 3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3(-) : 3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Init. Stiff. : 초기강성계산 방법
User Stiff. : 사용자 정의 초기강성
Init. Gap(+) : 슬립이력을 이용한 경우 슬립량(+)
Init. Gap(-) : 슬립이력을 이용한 경우 슬립량(-)
FEMA Type
Element No. : 요소 번호
Element Type : 요소 타입(Beam, Truss, General Link)
Prop. Name : 힌지속성 이름
Defin. : 비선형 요소특성 정의 방법
DOF : 요소에 할당된 비선형 성분
Loc. / Num. : 요소내의 비선형힌지의 위치 / 모멘트-곡률(분산형 힌지)인 경우 적분점 개수
Material Type : 요소재질(Steel, RC, SRC, Masonry)
Interaction Type : 성분의 상관관계 고려(None, P-M-M)
Skeleton Type : 비선형 요소의 뼈대곡선 타입
Input Method : 비선형 속성에 대한 자동계산 또는 사용자 입력
Input Type : 요소의 비선형 거동 표현방법(강도-강성저감율, 강도-항복변형율)
(+, -) Type : 이력곡선의 대칭/비대칭
User Defined :
(F/FY) or (M/MY), (D/DY) : 이력곡선 정의
FY(+) : 항복강도(+)
FY(-) : 항복강도(-)
User DY : 사용자 정의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Y(+) :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Y(-) :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IO(+), (-) : 즉시거주 수준
LS(+), (-) : 인명안전 수준
CP(+), (-) : 붕괴방지 수준
Init. Stiff. : 초기강성계산 방법
User Stiff. : 사용자 정의 초기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