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Eurocode2-2:05 생성 편집

Beam Design

기능

  • 미리 수행된 해석결과와 설계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극한강도설계법인 한국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KCI-USD99), 대한토목학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KSCE-USD96) 또는 미국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규준에 따라 콘크리트 보부재들의 자동설계를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MODS] 탭 > [Design] 그룹 > [RC Design] > beam_design_rc_design_mods.png [Beam Design]

 

결과출력

단면설계 출력결과는 요소(Element)별로는 각 요소 위치(I, 1/4, 1/2, 3/4, J) 및 콘크리트 하중조합조건에 따라 산출되는 최대 부모멘트(Negative Moment), 정모멘트(Positive Moment) 및 전단력(Shear Force)으로 설계한 결과이며, 단면(Section)별로는 각 단면의 요소 위치 및 콘크리트 하중조합조건을 고려하여 단면설계한 후 최대 철근량이 산출되는 결과를 출력하며, 사용된 단면으로 설계한 결과가 만족하는 경우는 청색,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적색으로 표현됩니다.

위치 M은 1/4, 1/2, 3/4 중 부모멘트, 정모멘트, 전단력을 기준으로 불리한 경우의 소요강도를 적용한 설계 결과를 출력합니다.

단면 설계 결과는 사용자선택 단위계를 기준으로 출력합니다.

MODS-design-RC design-eurocode2-2 05-beam design.png

KCI-USD99 RC-Beam Design Result 대화상자


SEL : 재설계, 결과출력을 위한 부재선택

ELEM : 요소번호

SECT : 단면번호

Span : 보부재의 길이

Shape : 단면형상기호

SB : 직사각형 단면

TEE : T-형 단면

Bc, Hc : 보부재 단면의 폭, 높이치수

bf, hf : T-형단면의 플랜지부 폭, 두께치수

fck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y : 주철근에 대한 설계기준강도

fys : 전단철근에 대한 설계기준강도

POS : 단면설계위치 (I,M,J)

설계위치 중 M에서의 결과는 1/4, 1/2, 3/4 위치 중 최대 정•부모멘트 및 전단력으로 자동설계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CHK : 단면설계결과의 표시 (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 인 상태에서 출력)

CHK

 

위의 의미가 조합되어 "OK, NPV---, N**--+"등과 같은 기호로 표현됩니다.

 

N(-)Mu, LCB : 해당 요소 또는 단면에서 발생한 최대 소요부모멘트, 최대 소요부모멘트가 발생한 콘크리트 하중조합조건

AsTop :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된 단면상부 주철근의 필요 단면적으로 표시하며, 규준에 의한 최소 철근량보다 적게 계산된 경우에는 최소 철근량으로 표시됩니다.

P(+)Mu, LCB : 해당 요소 또는 단면에서 발생한 최대 소요정모멘트, 최대 소요정모멘트가 발생한 콘크리트 하중조합조건

AsBot :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된 단면하부 주철근의 필요 단면적으로 표시하며, 규준에 의한 최소 철근량보다 적게 계산된 경우에는 최소 철근량으로 표시됩니다.

Vu, LCB : 해당 요소 또는 단면에서 발생한 최대 소요전단력, 최대 소요전단력이 발생한 콘크리트 하중조합조건

AsV :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된 전단철근의 필요 단면적(LengthUnit2 / LengthUnit x 100)으로 표시하며, 규준에 의한 최소 철근량보다 적게 계산된 경우에는 최소 철근량으로 표시됩니다.

Stirrup :규격을 이용하여 AsV로 배근 가능한 배근간격을 표시합니다. 설계결과에 따라 Stirrup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됩니다.

Stirrup

 

"Dxx@yyy" , "Dxx@yyy"

- xx는 철근의 호칭규격번호를 표시한 것이며 yyy는 배근간격(단위 : mm)을 표시한 것입니다.

"Failure"

KCI-USD99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kgf, cm)를 초과한 경우

KSCE-USD96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kgf, cm)를 초과한 경우

ASHTO-LRFD02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kip, in)를 초과한 경우

AASHTO-LFD96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lb, in)를 초과한 경우

ACI318-02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lb, in)를 초과한 경우

CSA-S6-00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kgf,cm)를 초과한 경우

JTJ023-85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N, mm)를 초과한 경우

IRC:21-2000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N, mm)를 초과한 경우

TWN-BRG-LSD90에서 전단강도 Vs가 (단위 : kgf, cm)를 초과한 경우

 

공통

Code : KCI-USD99 : 자동설계에 적용된 기준을 나타냅니다.

Sorted by Member,Section : 요소(Element)별 출력은 콘크리트 하중조합조건 중 위치(I,M,J)별로 최대 소요부•정모멘트 및 소요전단력으로 설계한 결과를 나타냅니다.

단면(Section)별 출력은 해당 단면정보를 갖는 전체 요소 중 위치별로 최대 소요부•정모멘트 및 소요전단력으로 설계한 결과를 나타내고, 한 요소에 의한 결과가 아니므로, ELEM(요소번호)가 "0"으로 출력됩니다.

Section 선택 후, SEL기능은 해당 단면에 속한 전체요소를 제어합니다.

Unit : 사용자 선택 단위계를 나타냅니다.

Primary Sorting Option : 자동설계 결과를 요소별로 출력할 때 단면번호 기준 또는 요소번호 기준의 오름차순으로 정열하여 나타냅니다.

Select All , Unselect All : 모든 부재를 선택하거나 모든 부재의 선택을 취소합니다.

Apply : 선택된 부재들을 재설계. 단면별 출력상태에서 재설계 수행은 해당 단면에 속한 전체요소를 제어합니다.

>> : 설계결과 자세히 나타내기

<< : 설계결과 간략히 나타내기

Graphic...  : 선택된 부재들의 설계결과 요약계산서 출력

Graphic...

 

 

Summary... : 선택된 부재들의 설계결과 요약 List 출력

Summary...

 

단면별 출력에서는 단면의 위치별(I, M, J) 대표값(최대 철근량이 산출된 결과)출력

 

Result View Option

All : 설계된 전체결과를 Design Result 대화상자에 출력

OK : 설계된 결과 중 OK된 결과를 Design Result 대화상자에 출력

NG : 설계된 결과 중 NG된 결과를 Design Result 대화상자에 출력

Connect Model View : Model View와 선택된 부재 연동여부 설정

Close : 대화창을 닫습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