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재하시 함수가 존재하는 이유는 공간내 위치별 온도가 다르거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를 모사하기 위함이며,
이때 스케일 팩터는 실험치에 대한 보정값 일괄적용시 사용을 위함입니다. 기본값은 1이며 별도 보정치가 없으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쉽게 생각한다면 하중재하 하실 때 아래 그림처럼 하중재하 칸에 테두리선이 존재하며, 안에 적용하는 것들을 모두 적용하여 해석에 적용된다고 보면 좋습니다.
고정온도에서는 온도값 100 [T] x 함수내 값 10 [-] x 스케일값 1 [-] = 1000 [T] 로 최종적용 되며, 단위계를 보시면 하중탭에만 존재하며 함수는 무차원수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하중에 위치별 증폭계수로 사용하거나 단위하중 1을 적용하신 후 함수로 위치별로 구분하여 하중을 재하하시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아래와 같이 대류조건은 외기온도와 대류계수 2종에 대하여 정의가 필요하며 테두리선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테두리 내 존재하는 데이터 간 상기처럼 하중과 함수를 반영해서 적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