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l function 에서 무차원벽면거리 y+ 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의미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wall function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합니다.
흔히 경계층이론이라고 이야기 하며, 벽면에서는 유속이 0이 되며 멀어질수록 유속이 회복되는 현상이 존재합니다.
설치폴더에 존재하는 CFD 해석메뉴얼 보시면 아래와 같이 경계층이론을 3개의 층으로 구분합니다.
해당 구간에 대하여 해석목적에 따라 난류모델과 y+ 값으로 구분하여 적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차 k-e 모델의 경우는 y+ 35 ~ 100 정도 값이 적용되며,
경계층의 점성효과를 주요하게 보는 2차 k-w 모델의 경우 ~y+1 ~ 30 정도 값을 가정하여 적용합니다.
기본값으로 적용된 y+65 의 경우 마찬가지로 기본값으로 적용된 난류모델 2차 k-e 모델 기준으로 평균값이 반영되어 있으며,
검토 필요한 대상에 따라 난류모델 및 벽면거리를 조절해서 적용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