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중도리, 띠장의 강도비 NG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
답변
공통 검토사항
1. 구조선 연결 확인
인접한 각 부재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절점과 구조선을 공유해야 합니다.
와이어프레임(Ctrl+H) 상태로 모델링을 확인하여 인접한 부재들의 구조선 연결이 적절한지 확인바랍니다.
2. 하중 확인
입력된 바닥하중이 과대하지는 않은지 전처리모드에서 확인바랍니다.
입력된 바닥하중은 '보기/감추기(Ctrl+E) - 하중 - 슬래브(마감)하중' 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점하중, 선하중, 면하중을 추가한 부재라면 같은 방식으로 추가 하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도리
중도리는 2차구조부재이므로 모델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조핸드북의 중도리 권장싸이즈를 참고하여 모델링한다면 NG를 무시해도 무방합니다.
1. 간격 확인
중도리 간격은 보나 트러스에 연결된 중도리 부재들을 자동으로 찾아 그 사이의 간격으로 인식합니다.
그런데 일부 모델에서는 트러스 하현재를 기준으로 양단부에 연결된 중도리 간격을 인식하여 크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라면 간격 값을 수동으로 편집(1000mm 내외)하여 검토바랍니다.
2. 길이 확인
부재의 길이는 모델에서 부재 길이의 최대값을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중도리 직교 방향으로 지붕보를 추가한다면 중도리의 길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때 중도리는 직교방향의 보를 기준으로 자동 분할되는데 중도리 생성 후 나중에 보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용마루나 처마 위치의
중도리가 분할되지 않아서 이 부재 길이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분리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중도리의 분할상태를 확인바랍니다.
3. 단면 조정
단면의 형태나 크기를 조정하여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강도 조정
LC형강(SSC275) 이외의 단면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재질 등급을 키워서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아래 자료를 참고하면 단면 크기를 결정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띠장
띠장은 2차구조부재이므로 모델링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1. 간격 조정
간격을 줄일 수록 강도비와 처짐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길이 조정
부재의 길이는 모델에서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기둥을 추가하면 띠장이 자동 분할되고, 길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단면 조정
단면의 형태나 크기를 조정하여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강도 조정
LC형강(SSC275) 이외의 단면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재질 등급을 키워서 강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