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Steel Design 생성 편집

Modify Steel Material

기능

  • 해석모델 작성 시 입력한 철골재질에 대하여 재질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입력된 재질데이터를 설계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질데이터로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Design] 탭 > [Type : Steel Design] > [Design Input Data] 그룹 > [Modify Steel Material]

 

입력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를 통하여 입력합니다.

Modify Steel Material 대화상자


Material List

해석모델 작성시 입력한 철골재질이 표시되며, 수정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재질을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Material] Type of Design에서 User Defined으로 작성한 철골재질은 표시되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NOTE.png 해석모델에 입력된 철골재질 중에서 Name, Es, Ws, Fy1, Fy2 등에 값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값들을 적용한다.

Name= SS400

Es= 21000 kgf/mm2

Ws= 7.85E6 kgf/mm3

Fy1= 24 kgf/mm2

Fy2= 22 kgf/mm2


Steel Material Selection

선택된 재질이 표시되며 재질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재질데이터의 변경은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는 재질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재질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 해당 재질이 속한 표준규격(Code)과 재질이름(Grade)를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Modulus of Elasticity(Es) : 철골재질의 탄성계수

Poisson's Ratio(Ps) : 철골재질의 프와송 비

Tensile Strength(Fu) : 철골재질의 인장강도

Yield Strength (Fy1, Fy2) : 사용부재의 두께가 40mm이하인 경우 재질의 항복강도

 

NOTE.png Fy1, Fy2, Fy3, Fy4, Fy5, Fy6은 철골재질의 두께에 따른 항복강도를 의미하고, 강도검증 수행시 각 응력성분별(압축, 인장, 휨, 전단) 허용응력(설계강도)을 계산하는데 기준이 되는 값으로써, 표준규격별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한편, Fy1, Fy2 Fy3, Fy4, Fy5, Fy6값의 적용은 부재단면의 최대두께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 : 표준규격을 Code 항에서 'None'으로 선택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재질명칭을 Name 항에 입력합니다.이렇게 입력을 마치면 다음과 같은 재질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각 항목이 활성화되고, 각 항목별로 해당 값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항목들은 KSCE-ASD05(건설교통부 제정 도로교설계기준 2005)에 한합니다.

Modulus of Elasticity(Es) : 철골재질의 탄성계수

Poisson's Ratio(Ps) : 철골재질의 프와송 비

Reference : KSCE-ASD05(도로교설계기준 2005)에 사용되는 강종을 나타내며 선택된 강종의 허용응력 상한값이 입력됩니다.

허용축방향 인장응력 및 허용휨인장응력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허용축방향압축응력

허용휨압축응력

허용전단응력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허용축방향압축응력의 상한값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허용휨압축응력의 상한값

양연지지판의 국부좌굴에 대한 허용응력

자유돌출판의 국부좌굴에 대한 허용응력

보강된 판의 국부좌굴에 대한 허용응력

압축응력을 받는 양연지지판의 최소두께

압축응력을 받는 자유돌출판의 최소두께

압축응력을 받는 보강된 판의 최소두께

 

NOTE.png Code항에서 'None'으로 선택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임의의 재질 및 허용응력에 대해 설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