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GTS NX 생성 편집

[GTS NX] 가시설 모델링 시 측면말뚝 임프린트 방법을 알려주세요

질문

1. 가시설 모델링 시 측면말뚝 임프린트 방법을 알려주세요.

2. 하위요소로 측면말뚝을 생성하기 위해서 굴착부 지반에 측면말뚝을 마킹(표시)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3. 가시설 모델링 시 굴착부에 측면말뚝을 생성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가시설 모델링 시에 측면말뚝을 표시하고 싶은데 자동임프린트가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변

  가시설 모델링 시 하위요소로 측면말뚝을 생성하려다 굴착부 솔리드에 마킹이 안되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해당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 모델이 완성되었다면 굴착부 요소망을 삭제하고 재생성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임프린트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간편합니다. 

 

0. 다음과 같은 예시 모델을 사용해 임프린트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굴착부 솔리드 기하형상>

<굴착부 솔리드와 측면말뚝 기하형상>

 

1. 임프린트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어떠한 면에", "어떤 형상을", "어떤 방향으로" 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먼저 "어떠한 면에" 라는 부분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임프린트(자국, 표시, 마킹) 하기 위한 대상 면을 선택합니다. 아래 임프린트 대화창을 확인하면 "대상형상 선택" 부분이 해당 됩니다. 

<임프린트 대화창에서 대상형상 선택>

<본 예시에서 임프린트 하려는 대상 면(대상형상)>

 

2. 다음은 어떤 형상을 임프린트 할 지 선택합니다. 이 부분은 임프린트 대화창에서 "도구형상"이 되겠습니다.

대상형상을 선택했다면 이제는 어떤 형상을 임프린트 할 지 선택해야 합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측면말뚝이 임프린트 도구 형상이 되겠습니다.

다만, 여기서 측면말뚝 전부가 아닌 "대상 면 위에 있는 측면말뚝 만" 선택하셔야 한다는 부분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대상형상 면 위에 있지 않는 도구형상을 선택하시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임프린트 대화창에서 도구형상 선택>

<본 예시에서 임프린트 하려는 도구형상>

 

2-1. 선 전체를 드래그 하면 중간 지층선이나 띠장 부분들의 불필요한 선이 같이 선택되어 한개씩 선택(pick)하여  지정하고 있어서, 측면 말뚝 선택 시 간편 Tip을 소개해 드립니다.

선택 기능 중에서 "연결선" 기능을 활용하면 쉽게 측면말뚝 선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연결선은 폴리라인을 그어서 교차되는 대상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은 다중직선을 정의할 때, 마우스로 다중직선을 지나는 연결선을 지정하기 위한 점을 순차적으로 클릭한 후 마지막 점을 지정할 때 마우스 왼쪽 버튼을 더블 클릭합니다. 마우스로 다중직선의 점을 지정하는 도중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다중직선의 정의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 "연결선" 선택을 이용하여 Rock Bolt 선들을 한 번에 선택하는 예 >

<본 예시에서 선 선택 도구 위치(상단)와 선 선택을 위한 선 형태(하단)>

 

3. 마지막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임프린트를 할 지 선택해야 합니다. 임프린트 기능을 사용하시면서 많은 분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이 바로 방향 설정입니다.

▷ 방향은 전체좌표계(Global CSys.)를 확인하시면 어려움 없이 방향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좌표계는 작업화면 우측 하단에 위치한 좌표계를 의미하며, "도구탭 > 보이기/감추기 > GCS 심볼" 체크로 확인 가능합니다. 

  우측 하단의 GCS 좌표를 확인하시면 임프린트 하고자 하는 면에 대상형상 면내 방향 즉, 전체좌표계 기준 X 방향으로 임프린트 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텀(Datum) 에서 붉은 line 인 X 방향 선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본 예시에서 임프린트 하려는 Global-X 방향>

 

<방향이 선택된 모습> 

 

4. 다른 면에 대하여 임프린트 예시를 추가적으로 알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방향선택의 경우 데이텀을 선택해도 되지만 해당 방향의 벡터를 입력해서 적용도 가능합니다.

<다른 면의 임프린트 영상>

<2점 벡터를 이용해 방향이 선택된 모습> 

2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