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국가지진재해도 플러그인은 KDS 17 10 00:2024 내진설계기준에서 제시한 행정안전부 “국가지진위험재해도” 지도를 활용하여 특정 부지의 재현주기별 지진 위험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KDS 17 10 00:2024 내진설계기준 확인
-
다양한 재현주기별 지진 위험 확인 (50년, 100년, 200년, 500년, 1000년, 2400년, 4800년)
-
주소 또는 위도/경도 입력을 통한 지진 위험 조회
Version
- v1.0.0 : 플러그인 배포
Applicable Standards
- KDS 기준
Benefits of this plugin
KDS 17 10 00 : 2024 4.2.1.1(4) 내진설계 일반에 따르면, "특정 부지에 대해 지진위험도(지진재해도)를 정밀하게 평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한 국가지진위험지도를 내진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현재 지진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공식 지도는 2013년도 공표된 “국가지진위험지도(소방재청)”뿐입니다.
하지만 이 도표의 경우, 직접적으로 대표 지역에 대한 데이터 수치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미지 상의 추정점을 분석하기 위한 노력을 별도로 기울이거나, 때로는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시켜 구조물 내진설계를 잘못된 결과치로 도출하는 우를 범하기도 합니다.
-
신속하고 정확한 지진 위험 정보 제공
-
다양한 재현주기에 따른 지진 위험도 조회 가능
-
주소 또는 위도/경도 입력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증대
이 플러그인에서는 주소 혹은 위도/경도로 해당 위치만 찾으면, 공식 지도상에 있는 데이터 값을 선형보간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w to use this plugin?
설계기준 확인
1. 플러그인을 실행하고 KDS 17 10 00:2024 내진설계기준을 확인합니다.
재현주기 설정
2. 재현주기를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2400년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입력유형 선택
3. 주소별 입력 유형을 선택합니다.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by adress), 위도/경도를 통한 입력 유형(by latitude/longitude)을 지원합니다.
대상 주소 입력
4. 대상 주소를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결과 확인
5. 입력한 주소에 대한 재현주기별 지진 위험 결과를 확인합니다.
Note
유효지반가속도(S) 산정에 대한 주의사항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2022, 제3.2절에 따르면, 2400년 재현주기에 해당하는 유효지반가속도(S)는 다음 두 값 중 더 큰 값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 지진구역계수(Z) × 위험도계수(I) : 여기서 위험도계수(I)는 KDS 17 10 00의 표 4.2-3에 따라 2.0을 사용함.
- 국가지진위험지도(그림 3.2-1) 를 활용해 도출한 S값.단, 이때의 S는 반드시 위의 계산한 값의 80% 이상이어야 함.
본 플러그인의 적용 범위 및 유의사항
-
본 플러그인은 국가지진위험지도(소방재청, 2013)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부 선형보간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위치의 예측 유효지반가속도(S) 값을 제공합니다.
- 이 예측치는 설계용으로 직접 사용하는 S값이 아니며, 엔지니어가 위 기준에 따라 공식적으로 S를 산정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해야 합니다.
- 특히, 보다 보수적인 설계를 위하여 인근 지역에서 도출되는 더 큰 S값을 적용할지 여부는 전적으로 설계자의 전문 판단에 따릅니다.
Conclusion
이 가이드를 통해 국가지진재해도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특정 부지의 재현주기별 지진 위험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