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프로젝트의 좌표계를 설정합니다.
실행
[Model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Option] Group > Coordinate
설명
Coordinate System
프로젝트의 좌표계를 설정합니다.
• [Origin Point]
CIM의 원점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교량의 시점의 좌표가 (100,100,30)이라면 Origin Point를 (100,100,30)으로 설정합니다.
Reference Coordinate는 대한민국 좌표계를 설정하였습니다. Reference Coordinate와 함께 정의되었기 때문에 원점은 (200000,600000,0)이고 설정한 원점은 (100,100,30)이므로 원점의 좌표는 (199900,599900,-30)입니다.
좌표계가 적용된 값은 Model Measure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IM 화면상에서는 (0,0,0)에 대한 상대값으로 출력됩니다.
• [Northern Direction]
정북방향을 정의합니다. 3차원으로 설정이 가능하며 모델구축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북방향을 회전할 경우 활용됩니다.
• [Coordinate Reference System]
적용할 좌표계를 선택합니다.
Geodetic DB(Offline) : CIM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EPSG DB(Online) : CIM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좌표계를 Online DB에서 불러와서 사용합니다.
User defined : 사용자가 직접 좌표계에 대한 값을 설정합니다.
• Geodetic DB(Offline) 방법 : CIM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 Geodetic DB(Offline)
Region : 대표 영역을 설정합니다.
Nation : Region에 속해있는 국가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국가에 속해있는 좌표계를 선택합니다.
• EPSG DB(Online) 방법 : CIM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좌표계를 Online DB에서 불러와서 사용합니다.
• EPSG DB(Online)
Search : 국가나 좌표계를 입력하면 검색됩니다.
검색어에 해당되는 좌표계가 출력됩니다.
• User Defined 방법 : 사용자가 직접 좌표계에 대한 값을 설정합니다.
• [Conversion Method]
좌표계를 적용해 CIM에 투영하는 방법입니다. Default는 Transverse Mercator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Natural Origin]
좌표계를 UI에 표현하는 단위를 선택합니다.
Degree : Degree를 소수점까지 표현합니다.
Degree/Minute/Second : 도/분/초 단위로 표현합니다.
• [Datum Factor]
측량 원점을 사용할 경우 -부호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입력되는 값입니다.
Scale Factor : 비율을 설정합니다.
False Easting : 경도의 -부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를 설정합니다.
False Nojrthing : 위도의 -부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를 설정합니다.
• [Ellipsoid]
지구타원체를 정의합니다.
Equatorial Radius : 지구타원체의 반지름을 입력합니다.
Polar Radius : 적도 반지름을 입력합니다.
• [Reference Coordinate]
좌표계의 원점을 입력합니다.
North/East : 거리로 입력합니다.
Degree : 위도/경도의 소수점으로 입력합니다.
Degree/Minute/Second : 도/분/초 단위로 표현합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