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View 생성 편집

View

개요

• 작업화면에 나타나는 그래픽에 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실행

[Base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Option] Group > View

[User Section Mode]

• Ribbon Menu > [User Section] Tab > [Option] Group > View

[Point Library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Option] Group > View

[Curve Library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Option] Group > View

[Assembly Unit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Option] Group > View


 

설명

그래픽 옵션 설정

다양한 그래픽 옵션을 설정합니다.

 

 

• [Reset to Initial State]

프로그램 설치 시 설정된 초기값으로 초기화합니다.

• [Display]

작업 화면의 그래픽 부분을 Show/Hide 컨트롤 합니다.

Datum, Axis, Plane : Datum의 Axis와 Plane이 작업화면에 나타납니다.

상세 이미지

 

 

• [Member Geometry, Vertex Label, Mesh Seed Label]

Member Geometry : 1D, 2D Member의 Geometry가 나타납니다.

Vertex Label : Geometry의 Vertex가 나타납니다.

Mesh Seed Label : 입력한 Mesh Seed 위치에 Seed Label이 나타납니다.

상세 이미지

 

 

• [Support Label, DOF Information]

Support의 레이블과 자유도 텍스트가 나타납니다.

상세 이미지

 

 

• [2D Analysis Model]

Plate Line으로 생성한 Analysis Model이 나타납니다.

상세 이미지

 

 

• [Texture]

객체의 표면 재질 그래픽이 나타납니다.

상세 이미지

 

 

• [Shadow]

객체의 그림자 그래픽이 나타납니다.

상세 이미지

 

 

• [Select Frozen Sub Shape]

Freeze 되어 있는 부재의 Sub Shape을 기능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상세 이미지

 

 

• [Camera Effect]

현재 보고 있는 Camera의 각도를 변경해 형상을 다르게 표현하는 기능입니다.

Perspective : 일반적인 각도보다 더 벌어진 광각을 적용해 모델이 좀 더 두드러지게 표현됩니다.

상세 설명 (Camera Effect)

 

Perspective OFF

Perspective ON

 

• [Level of Detail]

속도 향상을 위해 면 렌더링 품질을 조절합니다.

High Quality로 설정할수록 CAD의 품질은 좋아지지만 화면 전환 속도는 느려집니다.

상세 설명 (Level of Detail)

 

Very High Quality / High Quality

Medium Quality

Low Quality

Very Low Quality

 

• [Anti-Aliasing]

Edge들이 밀집되어 있을 때 Edge를 부드럽게 표현해 Edge들이 더 잘 보이도록 표현하는 기능입니다.

Off - Low - High 순으로 더 부드럽게 표현됩니다.

상세 설명 (Anti-Aliasing)

 

OFF

LOW

HIGH

 

• [Dynamic Quality]

FPS(Frame per second)가 입력한 값 이하가 되면 이동, 회전 등의 동작시에 일시적으로 CAD의 품질을 낮춰서 속도를 빠르게 하는 기능입니다. 동작이 완료된 후 CAD의 품질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합니다.

상세 설명 (Dynamic Quality)

 

OFF

ON

 

색상 & 투명도 옵션 설정

색상과 투명도에 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21-2_Reset Button.png

• [Reset to Initial State]

프로그램 설치 시 설정된 초기값으로 초기화합니다.

• [Display Mode]

모델을 Shading과 Edge 단위로 볼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상세 설명 (Display Mode)

 

Shading+Edge

Shading Only

Edge Only

 

• [Color]

CIM에서 제공하는 객체 단위별로 색상을 설정합니다.

Freeze : Freeze 된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Object : Freeze 된 객체의 색상을 Object 색상 그대로 표현합니다.

By Mono : Freeze 된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Concrete Member : Concrete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Object : Concrete 객체 속성창의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By Material : Concrete 객체의 Material(C30 등)의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By Mono : 모든 Concrete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Steel Member : Steel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Object : Steel 객체 속성창의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By Material : Steel 객체의 Material(SS400 등)의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By Mono : 모든 Steel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Rebar : Rebar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Diameter : 직경별로 색상을 표현합니다. D(n) ≤ n번째 Color<D(n+1)

By Mono : 모든 Rebar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Tendon : Tendon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Group : Tendon Group 별로 색상을 표현합니다.

By Material : Steel 객체의 Material(SS400 등)의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Tendon은 Steel의 Material을 사용합니다.)

By Mono : 모든 Tendon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Stiffener : Stiffener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Section : Stiffener의 Section Type 별로 색상을 표현합니다.

By Material : Steel 객체의 Material(SS400 등)의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Stiffener는 Steel의 Material을 사용합니다.)

By Mono : 모든 Stiffener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Bolt : Bolt 객체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By Bolt Type : Bolt Type별로 색상을 표현합니다.

By Mono : 모든 Bolt 객체를 단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상세 설명 (Concrete Color 설정 예시)

 

By Object

By Material

By Mono

 

• [Transparency]

CIM에서 제공하는 객체 단위별로 투명도를 설정합니다.

Concrete Member : Concrete 객체의 투명도를 설정합니다.

By Object : Concrete 객체 속성창의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By Mono : 모든 Concrete 객체를 단일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Steel Member : Steel 객체의 투명도를 설정합니다.

By Object : Steel 객체 속성창의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By Mono : 모든 Steel 객체를 단일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Stiffener : Stiffener 객체의 투명도를 설정합니다.

By Mono : 모든 Stiffener 객체를 단일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Bolt : Bolt 객체의 투명도를 설정합니다.

By Mono : 모든 Bolt 객체를 단일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Body : Body 객체의 투명도를 설정합니다.

By Object : Body 객체 속성창의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By Mono : 모든 Body 객체를 단일 투명도로 표현합니다.

상세 설명 (Concrete Transparency 설정 예시)

 

By Object

By Mono

Transparency 활용 예시

 

By Object

 


 

참고자료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