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Bridge Template 생성 편집

Cable Stayed Bridge

개요

• Cable Stayed Bridge를 프로그램에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Assembly Unit으로 일괄 생성합니다.


 

실행

[Base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Library] Group > Template

Cable Stayed Bridge


 

설명

General Tab

 

• [General Information]

Template Name : 생성할 Assembly Unit의 이름 정보를 입력합니다.

Run Modify Mode after Creation : On 으로 설정할 경우, Template 설정을 모두 입력한 후 Create 하였을 때 자동으로 Assembly Unit Mode 가 실행되어 만든 Template 모델에 수정을 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Layout Tab

Note

교량의 경간구성 정보 및 주탑과 보강거더의 제원을 입력합니다.

 

• [Bridge Information]

Number of Pylons : 주탑의 갯수를 정의합니다. 제공되는 템플릿에서는 3경간 2주탑까지 선택 가능합니다.

Pylon Type : 케이블 면수에 따른 주탑의 형상 타입을 선택합니다.

케이블 면수가 1일 때, I 타입과 Reverse Y 타입을 지원

케이블 면수가 2일 때, A 타입과 H 타입을 지원

Number of Cable Faces : 케이블 면수를 선택합니다. 제공되는 템플릿에서는 1면 / 2면 옵션이 선택 가능합니다.

Number of Cables : 케이블 수를 선택합니다. 주탑의 케이블 면수가 1일 때 케이블 수는 1 또는 2, 주탑의 케이블 면수가 2일 때 케이블 수 1 을 지원합니다.

• [Guide]

경간구성을 정의할 변수정보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 [Configuration]

Location

Location : 생성될 Assembly Unit의 경간구성을 나타냅니다.

Distance : 생성될 Assembly Unit의 경간구성 길이를 입력합니다.

Pylon Height : 주탑의 높이를 입력합니다.

Depth of Deck(HG) : 상부거더의 높이를 입력합니다.

상세 설명 (Advanced)

 

On 으로 설정할 경우, PY1(주탑1)과 PY2(주탑2)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Note

Depth of Decks를 변경 시 User Section 이나 보강거더 Curve Library를 변경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Model Tab

Girder Arrange.

Note

교량의 각 구간의 Segment 구성 정보를 입력합니다.

 

• [FCM Zone]

생성할 Assembly Unit의 FCM 구간 Segment 구성을 입력합니다.

Pylon : FCM공법이 적용될 상부거더와 연결될 주탑명을 나타냅니다.

Zone : 주탑을 기준으로 FCM공법이 적용될 거더의 좌우 위치를 나타냅니다.

Segment : FCM공법이 적용될 Segment 갯수와 길이(m)를 입력합니다.

Variable Section : Segment의 변단면 적용유무를 선택합니다.

 

• [FSM Zone]

생성할 Assembly Unit의 FSM 구간 Segment 구성을 입력합니다.

FSM(Start)

시점부 FSM 구간의 Segment 분할 정보를 입력합니다.

S1 : FSM공법이 적용될 교량시점 격벽부 구간의 길이를 입력합니다.

S2~SN : 교량시점 격벽부를 제외한 FSM구간의 길이를 입력합니다.

FSM(End)

종점부 FSM 구간의 Segment 분할 정보를 입력합니다.

S1 : FSM공법이 적용될 교량종점 격벽부 구간의 길이를 입력합니다.

S2~SN : 교량종점 격벽부를 제외한 FSM구간의 길이를 입력합니다.

 

• [Other Zone]

생성할 Assembly Unit의 단부구간 및 Key Seg. 제원을 입력합니다.

Expansion Joint : 시종점부 신축이음 길이를 입력합니다.

Key Segment(Kn) : 측경간과 중앙경간 Key segment 길이를 입력합니다.

Pylon Table(B) : PY1과 PY2의 Pylon Table(주두부)길이를 입력합니다.

상세 설명 (Advanced)

 

Advanced 스위치를 On 으로 설정할 경우,

• Expansion Joint : 시점부와 종점부의 신축이음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Key Segment(Kn) : 측경간과 중앙경간의 Key segment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Pylon Table(B) : PY1과 PY2의 Pylon Table(주두부)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Deck Slab

Note

교량의 횡단구성 정보를 입력합니다.

 

• Deck Width : 거더의 폭을 입력합니다.

• Pave. Thickness : 도로 포장의 두께를 입력합니다.

• Other Pave. Thickness : 보도나 자전거도로의 포장의 두께를 입력합니다.

• Depth of Cable(CD1) : 도로 포장 상단에서 케이블이 정착될 위치의 깊이를 입력합니다.

• Width of Cable(CL1) : 도로중심에서 케이블이 정착될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 Number of Areas : 상부거더 횡단구성을 Type수를 입력합니다.

• Area : 횡단구성의 Type 번호를 나타냅니다.

• Spacing : 횡단구성의 Type별 길이를 입력합니다.

• Type : 횡단구성 Type을 선택합니다.

Note

현재 15.2m 인 Deck Width 에 대한 Curve Library만 제공하고 있기에, Deck Width 변경시 User Section 또는 보강거더 Curve Library를 변경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Cable

Note

교량의 케이블 배치 정보(거더 및 주탑)를 입력합니다.

 

• [Cable Distance at Girder]

Pylon : 거더에 배치될 케이블의 입력기준이 되는 주탑명을 나타냅니다.

Zone : 주탑을 기준으로 케이블이 배치될 좌우거더를 나타냅니다.

Offset from Pylon (m) : 교축방향 기준으로 주탑중심에서 첫번째 케이블이 설치될 거리를 입력합니다.

Distance : 거더에 배치될 케이블 갯수와 간격을 입력합니다.

• [Cable Distance at Pylon]

Pylon : 케이블이 배치될 주탑명을 나타냅니다.

Distance from Top : 주탑 최상단에서 최상부 케이블이 설치될 위치를 입력합니다.

Interval : 주탑에 배치될 케이블 갯수와 간격을 입력합니다.

• [Cable Arrangement at Pylon]

Spacing(CI) : 주탑부에 설치될 케이블 배치영역 길이를 입력합니다.

Spacing(CC) : 교축직각방향기준 주탑중심에서 최상부케이블 이격길이를 입력합니다.

Spacing(CS) : 교축직각방향기준 최상부 케이블과 최하부 케이블간의 이격거리 차이를 입력합니다.

Spacing(CD) : 교축방향기준 주탑중심에서 케이블이 정착될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Sub Structure

Note

교량의 하부 구조 형식을 설정합니다.

 

• Start Support : 생성될 Assembly Unit의 시점부 하부 형식을 선택합니다.

• End Support : 생성될 Assembly Unit의 종점부 하부 형식을 선택합니다.

 

Shoe Tab

Sub Structure

Note

교량의 시종점부 교좌장치 정보를 입력합니다.

 

• Different Shoe at Start/End Support : On 으로 설정할 경우, 시점부와 종점부의 교좌장치 개수와 제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Number of Shoes : 보강거더 단면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된 교좌장치 배열의 열 수를 선택합니다. (단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 배열되므로 1으로 설정 시 2개의 교좌장치, 2로 설정 시 4개의 교좌장치가 생성됨.)

• h1 : 순수 교좌장치 높이를 입력합니다.

• h2 : 교좌블럭과 몰탈을 포함한 전체 교좌장치 높이를 입력합니다.

• b1 : 보강거더 중심에서 교좌장치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 최내측

• b2 : 보강거더 중심에서 교좌장치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 최외측

• S1 : 교축방향의 거더단부에서 교좌장치 중심(B1)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 S2 : 교축방향의 거더단부에서 교좌장치 중심(B2)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Pylon

Note

교량의 주탑부 교좌장치 정보를 입력합니다.

 

• Wind Shoe Location : 윈드 슈의 받침 위치를 선택합니다.

• Select Pylon : 윈드 슈가 위치할 주탑을 선택합니다.

• Copy Data to : 입력한 속성들을 다른 주탑에 똑같이 반영시키고자 할 때 반영할 주탑을 선택합니다. 반영하고자 하는 주탑을 선택한 후 오른쪽의 +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 값을 복사하여 반영할 수 있습니다.

• Create Shoe : On 으로 설정할 경우, Select Pylon에서 선택한 주탑에 교좌장치를 생성합니다.

• Create Wind Shoe : On 으로 설정할 경우, Select Pylon에서 선택한 주탑에 윈드 슈를 생성합니다.

• [Shoe]

Number of Layers : 주탑부 교축 방향 교좌장치 배열의 열 수를 선택합니다.

Number of Shoes : 보강거더 단면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된 교좌장치 배열의 열 수를 선택합니다.

h1 : 순수 교좌장치 높이를 입력합니다.

h2 : 교좌블럭과 몰탈을 포함한 전체 교좌장치 높이를 입력합니다.

b1 : 보강거더 중심에서 교좌장치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 최내측

b2 : 보강거더 중심에서 교좌장치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 최외측

s1 : 교축방향의 거더단부에서 교좌장치(B1)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s2 : 교축방향의 거더단부에서 교좌장치(B2)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 [Wind Shoe]

Number of Layers : 주탑부 교축 방향 교좌장치 배열의 열 수를 선택합니다.

Number of Shoes : 보강거더 단면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된 교좌장치 배열의 열 수를 선택합니다.

wh1 : 윈드 슈의 블럭 높이를 입력합니다.

wh2 : 블럭과 몰탈을 포합한 윈드 슈의 전체 높이를 입력합니다.

wh3 : 거더하단에서 부터 윈드 슈의 중심까지의 높이를 입력합니다.

wb1 : 교축직각방향 주탑 중심에 대한 윈드 슈 상단 까지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ws1 : 교축방향 주탑부 윈드 슈간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Library Tab

 

 


 

참고자료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