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Bridge Template 생성 편집

FCM Bridge

개요

• FCM Bridge 형식의 교량을 프로그램에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Assembly Unit으로 일괄 생성합니다.


 

실행

[Base Mode]

• Ribbon Menu > [Base] Tab > [Library] Group > Template

FCM Bridge


 

설명

General Tab

 

• [General Information]

Template Name : 생성할 Assembly Unit의 이름 정보를 입력합니다.

Run Modify Mode after Creation : On 으로 설정할 경우, Template 설정을 모두 입력하여 한 후 Create 하였을 때 자동으로 Assembly Unit Mode 가 실행되어 만든 Template 모델에 수정을 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Layout Tab

Pier Table

Note

교량의 경간구성 정보 및 주두부 제원을 입력합니다.

 

• [Bridge Information]

Number of Piers : 주두부의 개수를 설정합니다. 제공되는 템플릿에서는 10EA의 교각, 총 11경간 교량까지 선택 가능합니다.

Pier Table Support : 상하부 연결방법을 설정합니다.

• [Guide]

경간구성을 정의할 변수 정보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 [Pier Table]

Advanced : On 으로 설정할 경우, 격벽의 수와 주두부의 치수를 각 교각 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P.T. : Pier Table의 전체 길이를 입력합니다.

B : 주두부의 하부 수평 길이를 입력합니다.

상세 설명 (Pier Table - Advanced)

 

Advanced 속성을 On 으로 설정할 경우, 격벽의 수와 주두부의 치수를 각 교각 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ingle Diaphragm인 경우

T1 : 시점단부에서 격벽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T2 : 격벽 두께 를 입력합니다.

T3 : 격벽부터 우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 Double Diaphragm인 경우

T1 : 시점단부에서 격벽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T2, T4 : 격벽 두께를 입력합니다.

T3 : 격벽 사이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T5 : 격벽부터 우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 B : 주두부의 하부 수평 길이를 입력합니다.

 

• [Key Segment]

Advanced : On 으로 설정할 경우, 주두부 별로 Key Segment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K1 : 시종점부 경간의 Key Segment 길이를 입력합니다.

K2 : 중앙부 경간의 Key Segment 길이를 입력합니다.

Note

인접 등단면 구간 세그먼트 개수는 1의 기본값이 최초 적용되며, 바로 변단면이 시작하는 경우 Advanced Check on 후 입력하여야 합니다.

 

상세 설명 (Key Segment - Advanced)

 

Advanced 속성을 On 으로 설정할 경우, 위치 별로 Key Segment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Length : 위치 별 Key Segment 길이를 입력합니다.

• Straight Segment Number(Left) : Key Segment의 좌측으로 등단면(직선구간) 세그먼트의 개수를 입력합니다.

• Straight Segment Number(Right) : Key Segment의 우측으로 등단면(직선구간) 세그먼트의 개수를 입력합니다.

 

• [FCM Zone]

Advanced : On 으로 설정할 경우, 교각 별로 시종점 방향의 거더 분할 간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Zone1 : FCM 구간에서 교각을 기준으로 시점 방향의 거더 분할 간격을 입력합니다. (Key Segment까지)

Zone2 : FCM 구간에서 교각을 기준으로 종점 방향의 거더 분할 간격을 입력합니다. (Key Segment까지)

상세 설명 (FCM Zone - Advanced)

 

Advanced 속성을 On 으로 설정할 경우, 교각 별로 시종점 방향 거더의 분할 간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Zone1 : FCM 구간에서 해당 교각을 기준으로 시점 방향의 거더 분할 간격을 입력합니다. (Key Segment까지)

• Curvature : Zone1의 변단면 곡선을 정의하는 곡선식의 최고차항 차수를 입력합니다.

• Zone2 : FCM 구간에서 해당 교각을 기준으로 종점 방향의 거더 분할 간격을 입력합니다. (Key Segment까지)

• Curvature : Zone2의 변단면 곡선을 정의하는 곡선식의 최고차항 차수를 입력합니다.

 

• [FSM Zone]

FSM 구간의 세그먼트 간격 정보를 설정합니다.

FSM(Start) : 시점부 FSM 구간의 거더 분할 간격을 입력합니다. (Key Segment까지)

FSM(End) : 종점부 FSM 구간의 거더 분할 간격을 입력합니다. (Key Segment까지)

 

• [End Zone]

시종점부의 신축이음 길이와 격벽부 두께를 설정합니다.

Advanced : On 으로 설정할 경우,

Expansion Length(Start) : 시점부의 신축이음 길이를 입력합니다.

Expansion Length(End) : 종점부의 신축이음 길이를 입력합니다.

Diaphragm Length(Start) : 시점부의 격벽부 두께를 입력합니다.

Diaphragm Length(End) : 종점부의 격벽부 두께를 입력합니다.

 

Model Tab

Deck Slab

Note

교량의 횡단구성 정보를 입력합니다.

 

• Deck Width : 거더의 폭을 입력합니다.

• Pave. Thickness : 도로 포장의 두께를 입력합니다.

• Layout Offset : 선형중심과 구조물 중심 간의 이격거리를 입력합니다.

Note

양(+)의 값을 입력할 경우 선형 중심의 좌측에 구조물 중심이 위치합니다.

 

• Spacing

Spacing(L1) : 교량 횡단면에 대한 좌측 난간의 폭을 입력합니다.

Spacing(L2) : 교량 횡단면에 대한 좌측도로 폭이 자동 입력됩니다. ( 전체폭원 - ( 중분대 + 좌측난간 + 우측난간 )) / 2

Spacing(L3) : 중분대 폭을 입력합니다.

Spacing(L4) : 교량 횡단면에 대한 우측도로 폭이 자동 입력됩니다. ( 전체폭원 - ( 중분대 + 좌측난간 + 우측난간 )) / 2

Spacing(L5) : 교량 횡단면에 대한 우측 난간의 폭을 입력합니다.

• Type(L1 ~ L5) : 각 Spacing(L1 ~ L5)구역에 위치할 구조물의 타입을 설정합니다.

Note

중분대가 없는 경우 Spacing(L3) 값에 0을 입력합니다.

 

Section

Note

교량의 상부거더단면 제원을 입력합니다.

 

• H0 ~ HSD0 : 단면 삽도에서 해당하는 부분의 치수를 입력합니다.

 

Bearing Setting

Note

교량의 교좌장치 정보를 입력합니다.

 

• b1 : 단면 중심에서 교좌장치 중심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 b2 : 교축방향의 거더단부에서 교좌장치중심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 h1 : 순수 교좌장치높이를 입력합니다.

• h2 : 교좌블럭과 몰탈을 포함한 전체교좌장치높이를 입력합니다.

 

Haunch Length

Note

교량의 종방향 단면 헌치정보를 입력합니다.

 

• Lh1 : 거더 시종점 격벽부로부터의 헌치 길이를 입력합니다.

• Lh2 : 교각 지점 격벽부로부터의 헌치 길이를 입력합니다.

• Lh3 : 이중 격벽 적용 시, 격벽 사이 내부의 헌치 길이를 입력합니다.

 

Sub Structure

Note

교량의 하부 구조 형식을 설정합니다.

 

• Start Support : 생성할 Assembly Unit의 시점부 하부 형식을 선택합니다.

• Middle Support : 생성할 Assembly Unit의 중간부 하부 형식을 선택합니다.

• End Support : 생성할 Assembly Unit의 종점부 하부 형식을 선택합니다.

Note

상부만 모델링 할 경우 None 옵션으로 설정하여야 하며, Create Bearing는 Start / End Support의 받침에만 해당됩니다.

 

Tendon Tab

Tendon Arrange.

Note

교량의 Tendon 배치 정보를 입력합니다.

 

• Create Tendon : Off 로 설정할 경우, Tendon 정보 없이 Assembly Unit을 생성합니다.

 

• H1 ~ DY3 : 단면 삽도에서 해당하는 부분의 치수를 입력합니다.

 

Tendon Number

Note

교량의 Tendon 개수를 입력합니다.

 

• N1~N8 : 위치 별 Tendon 개수를 입력합니다. (반단면 기준)

- N1~N4 : FCM 구간 상부 Tendon 개수를 입력합니다.

- N5~N6 : FCM 구간 하부 Tendon 개수를 입력합니다.

- N7~N8 : FSM 구간 Tendon 개수를 입력합니다.

 

Tendon Property

Note

교량의 Tendon 및 Anchorage 정보를 입력합니다.

 

• [FCM(Top)]

FCM 구간 상부 Tendon의 제원 및 정착구 정보를 입력합니다.

• [Tendon Area]

Strand Diameter : 강연선의 직경을 설정합니다.

Number of Strand : 강연선 개수를 입력합니다.

• [Anchorage]

Manufacturer : 정착장치 제조사를 설정합니다.

Anchorage Type : 정착장치의 타입을 설정합니다.

DB : 정착장치 타입별 DB를 설정합니다.

• 옵션설정은 FCM(Top)과 동일합니다.

 

• [FCM(Bottom)]

FCM 구간 하부 Tendon의 제원 및 정착구 정보를 입력합니다.

Note

FCM(Top) 부분의 Tendon Area, Anchorage 참고

 

• [FSM]

FSM : FSM 구간 Tendon의 제원 및 정착구 정보를 입력합니다.

Note

FCM(Top) 부분의 Tendon Area, Anchorage 참고

 

Anchorage

Note

교량의 세그먼트 별 Tendon 정착 개수 및 정착구의 위치를 입력합니다.

 

• [Anchorage Number]

Segment 별 앵커의 정착 개수를 입력합니다. (반단면 기준)

- 1 입력 : 반단면 기준 세그먼트 당 1EA의 텐던(전체 2EA)이 정착

- 2 입력 : 반단면 기준 세그먼트 당 2EA의 텐던(전체 4EA)이 정착

• [Anchorage Position]

x ~ R(Mininmum) : 단면 삽도에서 해당하는 부분의 치수를 입력합니다.

 

Library Tab

 

 


 

참고자료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