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File
0.Introduction
MIDAS GH를 사용하기 위해 CIVIL NX와 API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봅니다.
a. Contents
1. API 연결 |
1-1 Grasshopper Midas Setting 컴포넌트 실행 1-2 CIVIL NX API Setting 실행 1-3 Base URL 및 MAPI-Key 입력 |
---|---|
2. 컴포넌트 실행 |
2-1 Create Beam Component 2-2 Input Data 2-3 Run Component |
b. Result Preview
|
c. Component Flow
1. API 연결
MIDAS GH를 사용하기 위해선 CIVIL NX와 우선 연결하여야 합니다.
1-1 Grasshopper API 연결 컴포넌트 실행
1. Grasshopper에서 ① [Midas] > ② [Tools] > ③ "Midas Setting" 컴포넌트를 실행
2. "Midas Setting" 컴포넌트의 ④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Midas Setting" 창을 실행
1-2 CIVIL NX API Setting
1. CIVIL NX에서 ⓐ [Apps] tab > ⓑ [API] group > ⓒ Midas Settings 실행
1-3 API 연결
1. CIVIL NX의 ⓐ Base URL의 "Copy" 버튼을 클릭
2. Grasshopper의 ① Base URL에 입력
3. CIVIL NX의 ⓐ MAPI-Key의 "Copy" 버튼을 클릭
4. Grasshopper의 ① MAPI-Key에 입력
5. CIVIL NX의 ⓒ "Connect" 버튼을 클릭
6. Grasshopper의 ③ "OK" 버튼을 클릭
Grasshopper의 Midas Setting은 한번 연결하면 Setting 정보가 유지되며, 이후에는 MAPI-Key가 변경하여야 할 경우에만 새로 적용하면 됩니다.
2. 컴포넌트 실행
연결을 완료했다면 가장 처음으로 요소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IDAS GH는 CIVIL NX와 같이 1차원 요소인 "Beam" , 2차원 요소인 "Plate" , 3차원 요소인 "Solid" 형태를 지원합니다. 그중 가장 간단한 "Beam" 요소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1 Create Component
1. Grasshopper에서 ① [Midas] > ② [Node/Element] > ③ "Beam" 컴포넌트를 실행
2-2 Input Data
1. ① "Line" 컴포넌트 생성
2. ① "Line" 컴포넌트의 아이콘 우클릭 후 ② "Set One Line" 클릭
3. Rhino에 ③ "Start Point" 와 ④ "End Point" 를 입력하여 Line 생성
4. ① "Line" 컴포넌트를 "Beam" 컴포넌트의 ⑤ "Line" 입력 칸에 연결
2-3 Run Component
1. "Beam" 컴포넌트의 ① "Run" 버튼을 실행
2. CIVIL NX에 ② "Node" 와 ③ "Element" 생성
컴포넌트는 최소한의 필요한 값만 입력하여도 동작하며, API가 동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는 Manual에서 Default 값이 없을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