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후처리결과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복수선택이 가능합니다. Type of Display기능은 Result 항목에 적용되는 기능으로 결과의 출력 형태를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상세설명
Contour |
해석 및 설계 결과를 등고선도로 표현합니다.
: 등고선도의 색상구분 영역을 지정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범위에 대해 특정색상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Customize Value : 최대값 (Rank 11), 최소값 (Rank 0)을 제외한 범위 내의 값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습니다. 변경을 원하는 Rank를 선택한 후에 Customize Value를 체크하면, Contour Value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Contour Min / Max Value Range : 출력값의 최대, 최소값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습니다. 내부의 Rank 값은 등간격으로 자동정렬됩니다.
Drawing Mode : 사용자가 최대, 최소값의 출력범위를 줄였을 때, 줄어든 범위에 대한 표현방법을 지정합니다.
Transparency : 투명하게 표시
Same Color : 변경하기 전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
Number of Colors : 등고선도에 포함할 색상수 지정 (6, 12, 18, 24개 색상 중 선택)
등고선도의 색상을 지정 또는 조정합니다. Color Tables : Color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 등고선도의 각 영역별 색상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Reverse Contour : Check on하면 등고선도의 색상변화 순서를 역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tour Line : 등고선도 경계선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Element Edge : 등고선도를 나타낼 때 요소 외곽선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Gradient Fill : 등고선도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색조확산처리하여 표현합니다.
Draw Contour Lines : 등고선도에서 색상별 경계선을 표현합니다.
Draw Contour Line Only : 등고선도의 색상별 경계선만을 표현합니다.
Mono line : 등고선도의 색상별 경계선을 단색으로 표현합니다.
Contour Fill (Gradient Fill)
Contour Fill (Draw Contour Lines)
Contour Annotation : 등고선에서 각 영역을 구분하는 주석을 표시합니다.
Spacing : 표시되는 주석의 간격지정
Coarse Contour (faster) (for large plate or solid model) : 판요소나 입체요소를 사용한 대형 모델에서 등고선도를 표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간략한 등고선도를 표현합니다.
|
---|---|
Deform |
모델의 변형도를 나타냅니다. Deformation Scale Factor : 모델 윈도우에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변형량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합니다.
Deformation Type : 변위출력형식을 결정합니다.
Nodal Deform : 절점변위로만 변형도를 나타냅니다.
Real Deform : 절점변위와 함께 보요소의 경우, 양 단부 사이의 구간에 대해서도 보요소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세변형량을 계산하여 나타냅니다.
Real Displacement (Auto-Scale off) : 변형량을 임의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지 않고 실제 변형량 그대로 그래픽으로 출력합니다. 대변형을 고려한 기하비선형 해석시 주로 적용됩니다.
Relative Displacement : 화면에 표현된 절점의 최소변위를 "0"으로 놓고, 이에 대한 상대변위를 그래픽으로 출력합니다. |
Values |
변위, 부재력, 응력 등을 수치로 나타냅니다. 숫자의 글꼴이나 색상은 Display Option 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Decimal Points : 출력되는 수치의 소수점이하 자릿수 지정 Decimal Points의 초기값은 Preferences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Exp. : 지수형으로 표현할지 여부를 선택
MinMax Only : 최대최소값만 출력
Min & Max : 최대, 최소값 표시
Abs Max : 절대값이 최대인 수치를 표현
Max : 최대값만 표시
Min : 최소값만 표시
Limite Scale (%) : 선택된 최대 혹은 최소값을 중심으로 (Max-Min)*Limit Scale 범위의 값을 모두 표시
Set Orientation : 수치의 기록방향 설정 Set Orientation의 "0"은 화면에서 절점 또는 요소의 우측으로 수평하게 기록되며, Orientation은 반시계방향의 각도로 적용됩니다. 적절한 각도를 입력하면 수치 출력시 가독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Legend |
작업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해석결과에 대한 각종 참조사항을 정리하여 출력하며, 최대 / 최소결과값이 발생하는 요소번호가 출력됩니다. Legend Position : 작업화면에서 Legend의 위치 지정
Rank Value Type : Legend 값의 출력형태와 소수점 자리수 지정
Model Window 상의 Legend 위치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면 Max와 Min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면 각 구간의 값은 자동계산 되어 변경됩니다. 는 변경된 값을 초기화할 때 사용합니다. |
Animate |
모델의 변형과정을 동적으로 묘사합니다. 버튼을 클릭한 후, 작업화면 하단의 동적묘사제어판 우측의 Record를 클릭합니다. Animation Mode : 해석결과의 동적묘사방법을 결정합니다.
Animate Contour : 동적묘사의 변형량에 따라 변형을 표현하는 등고선도의 색상을 변화시킬지 여부지정
Repeat Half / Full Cycle : 동적 변형과정의 반복표현주기 선택 구조물의 변형도는 'Half Cycle'을, 진동모드나 좌굴모드를, 동적으로 묘사할 때는 'Full Cycle'을 선택합니다.
AVI Options : 동영상 화면의 제작에 필요한 각종 설정사항을 입력합니다.
Bits per Pixel : 동적화면의 기초화면을 만들 때 사용되는 Pixel당 색상수
: 화상데이터의 압축방법 지정
Frames per Half Cycle : 'Half Cycle'을 묘사하는데 사용할 기초화면의 개수
Frames per Second : 동적묘사시 표현할 초당 기초화면의 개수
Construction Stage Option : 시공단계별 해석을 수행한 경우의 애니매이션 방법을 지정합니다.
Stage Animation : 시공단계별 애니매이션
Current Stage-Step : 현재 시공단계에서 Step별 애니매이션
From ~ To : 애니매이션의 시작과 끝이 될 시공단계 또는 Step 선택
Only Model Animation : 해석결과가 제외된 시공단계별 모델의 변화만을 동적으로 묘사합니다.
동영상 묘사 중에 동영상을 제어하는 icon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Play Pause Stop Skip Back Rewind Fast Forward Skip Forward |
Undeformed |
변형도에 변형전의 모델형상을 추가로 나타냅니다. |
Mirror |
1/2 또는 1/4 모델로 해석한 결과를 면대칭 확장하여 전체모델에 대한 해석결과를 출력합니다. Half Model Mirroring : 대칭 평면을 대칭 시켜 1/2 모델로부터 얻은 분석 결과를 전체 모델의 결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Quarter Model Mirroring : 대칭 평면을 대칭 시켜 1/4 모델로부터 얻은 분석 결과를 전체 모델의 결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Mirror by : GCS에서 평면과 평면 수직 방향의 좌표를 지정하여 반사면을 지정합니다.
Mirror 기능 적용 전 / 후 |
Quick View |
보요소의 상세해석과정을 통하여 전단력도 (Shear Force Diagram)와 휨모멘트도 (Bending Moment Diagram)를 확인합니다. P-Delta 해석을 한 경우 보 내부의 변위를 계산하여 정확한 휨모멘트를 계산합니다. 단, 이 기능은 보 요소에만 적용됩니다. Element : 상세해석이 필요한 요소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입력란을 한번 클릭한 후 작업화면에서 마우스커서로 대상 보요소를 지정합니다.
Select Load/Step/Comp. Load Case : 원하는 하중조건이나 하중조합조건을 선택합니다. Step : 해석결과를 출력할 단계 (Step)을 지정합니다. 기하비선형 해석에서의 하중단계 (Load Step) 및 고층 건축물의 시공단계별 해석이나 수화열의 시공단계별 해석에서 Additional Step을 정의합니다. 시공단계별 해석에서 출력에 적용할 시공단계 (Construction Stage)는 Select Construction Stage for Display나 Stage Toolbar에서 지정한다.
Component : 원하는 부재력 성분을 다음에서 선택합니다. Fx : 요소좌표계 x축 방향 축력 Fy : 요소좌표계 y축 방향 전단력 Fz : 요소좌표계 z축 방향 전단력 Mx : 요소좌표계 x축에 대한 비틀림모멘트 My : 요소좌표계 y축방향에 대한 휨모멘트 Mz : 요소좌표계 z축방향에 대한 휨모멘트
|
Plate Cutting Diagram |
임의 선분이나 면을 따라 절단된 절단선이나 절단면에서 판요소의 변형도를 그래프형태로 나타냅니다. 판요소의 변형도를 보는데 필요한 상세설정 대화상자가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Cutting Line : 절단선을 따라 그래프 생성 Cutting Plane : 절단면과 교차하는 Plate 단면선을 따라 그래프 생성
Cutting Line을 선택한 경우 Defined Cutting Lines : 등록된 절단선 목록 Add : Cutting Line Detail에서 정의한 절단선을 Define Cutting Lines에 추가 Del : 등록된 Cutting Lines를 삭제 Modify : 등록된 Cutting Lines를 수정 Cutting Line Detail : 등록할 Cutting Line을 정의합니다. Name : 등록할 Cutting Line의 이름 Pnt1: Cutting Line의 시작점 Pnt2 : Cutting Line의 끝점 Cutting Line 생성 Plate Cutting Diagram (Cutting Line) Options : 그래프를 표현할 평면과 색상을 지정합니다. Normal : 판요소의 Normal 방향으로 그래프 표현 In Plane : 판요소의 면내방향으로 그래프 표현 Scale Factor : 출력비율 지정 Reverse : Diagram을 반대방향으로 표현 Graph : 그래프 윈도우로 출력 (Cutting Lines를 선택한 경우에만 유효합니다.)
Draw graphs on seperate panes : 여러 개의 절단선 또는 절단면에 대한 그래프를 각각 출력 Draw graphs on All in one pane : 여러 개의 절단선 또는 절단면에 대한 그래프를 하나의 그래프에 동시에 표현 X-Axis : 그래프의 X축 항목을 결정 Distance From Pnt1 : 첫번째 점(Point)로부터의 거리 Global X Coord. : 전체좌표계 X축 좌표 Global Y Coord. : 전체좌표계 Y축 좌표 Global Z Coord. : 전체좌표계 Z축 좌표 Value Output : 수치로 출력 MinMax Only : Value Output을 선택하는 경우 최대/최소값만 표현
Plate Cutting Diagram의 Graph
Cutting Plane을 선택한 경우 Named Planes for Cutting : 사용자좌표계의 x-y, x-z, y-z 평면과 등록되어 있는 Named Plane 중 원하는 평면을 선택 Plate Cutting Plane Detail Normal to plate : 판형요소의 요소좌표계 z축 방향과 평행하게 절단면을 고려 On cutting plane surface : 정의된 평면대로 절단면을 고려 Draw continous lines : 동일 평면에 배치되지 않은 판요소들의 그래프를 연속된 선으로 연결하여 표현 Plate Cutting Diagram (Cutting Plane) Draw Continous Lines 미적용 Draw Continous Lines 적용 Scale Factor : 출력비율 지정 Reverse : Diagram을 반대방향으로 표현 Value Output : 수치로 출력 MinMax Only : Value Output을 선택한 경우, 최대최소값만 표현 |
Hinge Status |
Pushover 해석을 수행한 경우 소성힌지의 발생상황을 표시하는 label을 출력합니다. |
Current Step Disp. |
시공단계별 해석을 수행한 경우 선택된 시공단계의 step에서 발생한 변위를 출력합니다. |
Yield Point |
해석결과가 Plastic Material의 Initial Uniaxial Yield Stress에서 정한 항복응력보다 큰 경우 출력됩니다. |
Cutting Plane |
임의의 단면에서 절단된 입체요소의 응력을 나타냅니다. 절단면에서 입체요소의 응력을 보는데 필요한 상세설정 대화상자가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Named Planes for Cutting : 절단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평면들의 목록으로서, 현재 UCS좌표계에 의한 평면 3개와 사용자가 정의한 Named Plane의 목록이 나열됩니다. Check on 하면 절단면으로 적용됩니다.
Outline Type 절단면의 응력 그래프가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아래 옵션에 따라 입체요소 모델을 외곽선으로 표현합니다. Outline의 색상은 Display Option의 Color 또는 Print Color 탭에서 Element의 Free Face / Edge에서 설정합니다. Free Face : 다른 입체요소와 접하지 않는 면의 외곽선을 모두 표시합니다. Free Edge : 다른 입체요소와 접하지 않는 모서리만을 표시합니다. Ani.Option Hide : 애니메이션 상세옵션을 나타냅니다. Animation Option : Type of Display에서 Animate와 함께 사용하며, 아래 옵션에 따라 절단된 입체요소의 응력 Contour가 동영상으로 제공됩니다. Global X Sweep : 절단면을 전체좌표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해당면의 응력 등고선도로 동영상 제작 Global Y Sweep : 절단면을 전체좌표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해당면의 응력 등고선도로 동영상 제작 Global Z Sweep : 절단면을 전체좌표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해당면의 응력 등고선도로 동영상 제작 Plane Normal Dir. : 절단면을 해당 평면의 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해당면의 응력 등고선도로 동영상 제작 Rotating : 현재 UCS좌표축의 x, y, z축을 중심으로 절단면을 360도 회전시키면서 해당면의 응력 등고선도로 동영상 제작
Cutting Plane (Free Face) 기능 Cutting Plane (Free Edge) 기능 |
IsoSurface |
입체요소에 발생한 임의의 응력값에 대한 등위면을 나타냅니다. 입체요소 응력의 등위면을 설정하기 위한 상세설정 대화상자가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IsoValue Mode : 등위면을 표시할 응력값을 지정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Relative (0~1) : 최대값을 1, 최소값을 0으로 설정한 상태를 입력 Value : 실제 응력값을 입력 IsoSurface Value : 버튼을 클릭하여 등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치를 입력합니다. 복수입력도 가능하며 버튼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Draw Polygon Outline : 등위면을 형성하는 각 다각형의 경계선을 표시합니다. 경계선의 색상을 Contour Details 대화상자의 Element Edge 색상으로 설정됩니다. Transparent (Screen only) : 등위면의 색상에 투명도를 지정합니다. Model Outline : 등위면의 응력도가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아래 옵션에 따라 입체요소 모델을 외곽선으로 표현합니다. Outline의 색상은 Display Option의 Color 또는 Print Color 탭에서 Element의 Free Face / Edge에서 설정합니다. Free Face : 다른 입체요소와 접하지 않는 면의 외곽선을 모두 표시합니다. Free Edge : 다른 입체요소와 접하지 않는 모서리만을 표시합니다. IsoSurface와 Animate 옵션을 함께 선택하면, 1개의 IsoSurface Value를 입력한 경우에는 해당값에서 최대응력까지, 2개 이상의 IsoSurface Value를 입력한 경우에는 입력된 수치중 최소에서 최대값까지의 등위면을 동영상으로 표현한다. IsoSurface Display |
3D Contour |
영향면을 입체 등고선도로 나타냅니다. Scale Factor : 입체 등고선도의 작도비율을 입력합니다. Draw vertical lines : 입체 등고선도에서 내부의 수직선을 표시합니다. 3D Contour 기능 |
Include Impact Factor |
충격계수를 고려한 하중값을 출력합니다. Multi-Lane Scale Factor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