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여러 개의 보요소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해당 보요소 열의 양단을 지정하여 연속보하중(Continuous Beam Load)을 분포하중 또는 중간집중하중 형태로 입력하거나 이미 입력된 하중을 수정 또는 삭제합니다. 하중 재하방향과 동일한 평면에서 곡선으로 배치된 연속보에 하중을 재하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지진토압하중과 같이 곡선형태의 분포하중도 재하할 수 있습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Load] 탭 > [Type : Static Loads] > [Static Loads] 그룹 > [Beam Loads] > [Line]
입력
Line Beam Loads 대화상자
Load Case Name
단위하중조건 선택란에서 원하는 하중조건을 지정합니다. 추가로 하중조건을 입력하거나 수정, 삭제가 필요한 경우 우측의 버튼을 이용합니다.
Load Group Name
입력한 하중데이터를 포함할 Load Group을 선택합니다. Group 지정이 불필요한 경우는 "Default"를 선택합니다. Load Group을 추가생성하거나 수정하려면 버튼을 클릭하여 "Define Load Group" 대화상자를 호출합니다.
Options
Add :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보요소에 연속보하중을 신규 또는 추가 입력할 경우 지정
Replace :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보요소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연속보하중을 대체 입력할 경우 지정
Delete :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보요소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연속보하중을 삭제할 경우 지정
Load Type
연속보하중의 재하형식을 지정합니다. 재하형식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Concentrated Forces : 중간집중하중
Concentrated Moments/Torsions : 중간집중 휨모멘트 또는 중간집중 비틀림모멘트
Uniform Loads : 등분포하중
Uniform Moments/Torsions : 등분포휨모멘트 또는 등분포 비틀림모멘트
Trapezoidal Loads : 보 길이에 따라 하중값이 선형으로 변화하는 사다리꼴 분포하중
Trapezoidal Moments/Torsions : 보 길이에 따라 하중값이 선형으로 변화하는 사다리꼴 분포휨모멘트 또는 등 비틀림모멘트
Curved Load : 보길이에 따라 하중값이 곡선식을 기준으로 변하는 분포하중
곡선형 하중은 요소를 3등분하여 재하되므로 요소길이가 긴 경우는 하중형태가 직선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요소를 분할할수록 곡선에 가까운 하중이 재하된다.
Uniform Pressure : 등분포 압력하중. 단면형상을 고려해 단위면적당 하중의 형태로 입력하는 등분포하중
Trapezoidal Pressure : 사다리꼴 압력하중. 단면형상을 고려해 단위면적당 하중의 형태로 입력하는 사다리꼴 분포하중
Elements Selection
연속보하중을 재하할 대상을 지정합니다.
On the loading Line
Line Beam Load를 정의하기 위해 지정하는 두 점이 이루는 직선상에 배치된 요소에 재하
Select Element
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요소에 Line Beam Load를 입력하는 경우 선택한 요소에 재하
Eccentricity
편심거리를 입력하여 편심하중을 편리하게 입력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편심거리와 하중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모멘트 하중으로 변환되며, 풍하중과 같이 편심거리를 두고 재하되는 보하중 입력시에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from Offset : Section Offset을 고려해, 절점위치로 부터의 편심거리를 입력합니다.
from Centroid : 단면 도심으로 부터의 편심거리를 입력합니다.
편심거리를 이용한 하중입력
편심거리 입력 기준
Direction : 편심방향을 입력합니다.
Distance : 편심거리를 입력합니다.
I-End : I단에서의 편심거리
J-End : J단에서의 편심거리
Additional H from Top
Load Type이 Uniform Pressure 또는 Trapezoidal Pressure인 경우에만 활성화 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모델링에 반영하지 않는 방호벽의 높이 H를 고려해, 압력하중을 재하합니다. 이때, Additional H는 하중방향에 따라 Local y, z의 (+)방향 끝단부터의 거리입니다.
압력하중 입력편의를 위한 Additional H
Direction
연속보하중의 작용방향을 지정합니다. 작용방향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Local x : 요소좌표계 x축방향으로 보하중 재하 (직선배치된 경우)
Local y : 요소좌표계 y축방향으로 보하중 재하 (직선배치된 경우)
Local z : 요소좌표계 z축방향으로 보하중 재하 (직선배치된 경우)
Global X : 전체좌표계 X축방향으로 보하중 재하
Global Y : 전체좌표계 Y축방향으로 보하중 재하
Global Z : 전체좌표계 Z축방향으로 보하중 재하
하중의 작용방향이 상기의 6개 방향에 속하지 않는 임의의 방향일 경우에는 각 성분별 분력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단, 분력 계산시 부호에 유의해야 합니다.
Projection
연속보하중을 하중재하구간의 전체 보요소에 재하할 것인지, 하중작용방향의 수직선상에 투영된 길이에 대해 재하할 것인지를 지정합니다. 이 기능은 Load Type이 'Uniform Loads' 또는 'Trapezoidal Loads'이면서 Direction이 'Global'인 조건에 대해서만 유효합니다.
Yes : 연속보하중을 하중작용방향의 수직선상에 투영된 하중재하구간 길이에 대해 재하할 경우
No : 연속보하중을 하중재하구간의 전체길이에 대해 재하할 경우
Value
연속보하중의 재하위치와 하중의 크기를 정의합니다.
Relative : 연속보하중의 재하위치를 하중재하구간 길이에 대한 상대비율로 입력
Absolute : 연속보하중의 재하위치를 실제 길이로 입력
x1, x2, x3, x4, W1, W2, W3, W4 : 안내그림을 참조하여 하중의 위치와 크기를 입력
Curved Load Type을 선택했을 때는 다음과 같은 곡선분포 하중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Nodes for Loading Line
재하구간의 양단에 위치한 절점번호를 입력합니다.
Copy Load
입력된 보하중을 일정거리에 있는 동일길이의 보요소 열에 반복 복제 입력하는데 사용됩니다.
Axis : 복제방향 지정
x : 사용자좌표계 x축 방향
y : 사용자좌표계 y축 방향
z : 사용자좌표계 z축 방향
Distances : 복제거리
여러 개의 보요소 열에 동시에 복제할 경우에는 복제거리를 개수만큼 상대거리로 연속 입력합니다. (예, 5.0, 3.0, 4.5,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