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ILM Bridge 생성 편집

ILM Bridge Stage Wizard

기능

  • 압출공법(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의 교량모델에서 압출조건에 의한 각 시공단계의 경계조건을 자동생성하여 시공단계를 정의합니다.
  • ILM Bridge Stage Wizard를 사용한 교량의 시공단계 정의 절차는 "MIDAS로 배우는 교량구조 실무" 또는 "Advanced Applications"의 "ILM 공법교량의 시공단계해석" 예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Structure] 탭 > [PSC Bridge] 그룹 > [PSC Box Bridge] > [ILM Bridge Stage]

 

입력

Structure-Wizard-ILM Bridge-ILM Bridge Stage.png

ILM Stage Wizard 대화상자

 

Piers of Final Structure System

Boundary Group

완성된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을 고려한 경계조건의 그룹을 선택합니다. ILM Stage에서는 압출과정에 대한 시공단계의 정의시 이 경계조건 그룹의 입력내용을 반영하여 경계조건을 자동으로 적용합니다.

Launching Direction

압출방향과 거리를 지정합니다. 시공단계의 자동 생성 및 정의시 반영됩니다.

Reference Node

압출방향 지정시에 참조할 기준점을 지정합니다. 즉, 압출노즈 선단의 절점을 지정합니다.

 

Start Node

지정한 기준점이 압출되기 시작하는 위치의 절점을 지정합니다. 즉, 처음 시공단계에서 노즈선단 위치의 절점을 지정합니다.

 

End Node

압출방향을 정의하기 위하여, 압출시작점(Start Node)에서 압출방향쪽에 위치한 임의의 절점을 지정합니다.

 

Radius

주거더가 하나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일 경우 곡률반지름을 입력합니다. ILM Bridge Model Wizard를 이용한 경우 ILM Model 탭에서 입력한 곡률반지름과 동일해야 합니다.

CCW :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압출(Concave)

CW :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압출(Convex)

NOTE.png 압출 거리와 방향은 기준점(Reference Node)이 시작점(Start Node)의 위치에서 끝점(End Node)까지 압출되는 것으로 고려하여 자동 계산된다.

Generation Tolerance

압출시 요소의 절점 위치와 경계조건의 위치(완성계의 교대 및 교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편심(e)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무시할 수 있는 허용치(T)를 입력합니다. (입력안내그림 참조)

NOTE.png 편심거리(e)는 허용오차(T)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e≤T)

Launching Information

각 세그먼트 별로 압출 정보 및 시공단계 생성시 추가로 고려할 경계조건을 지정합니다.

Define___.png

압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추가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대화상자의 목록표에서 시공단계를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사항을 입력합니다.

 

Delete.png

압출정보를 삭제하고자 하는 시공단계를 목록표에서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되어 있는 압출정보가 삭제됩니다.

Structure-Wizard-ILM Bridge-ILM Bridge Stage-Define Launching Information.png

Define Launching Information 대화상자

 

Launching Information

Distance

현 시공단계에서 세그먼트를 압출하는 길이를 입력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세그먼트의 길이를 입력하고, 마지막 세그먼트의 경우 세그먼트 종단부가 가교각 및 제작장을 완전히 빠져나가 종점 교대에 닿을 때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NOTE.png 압출거리를 입력하면 ILM Stage Wizard는 1회 압출할 때마다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경계조건을 반영하여 하위의 시공단계를 자동생성하여 정의한다. 상위시공단계는 제작장에서 세그먼트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며, 압출횟수만큼의 하위 시공단계가 생성된다. 자동생성된 마지막 단계는 압출이 완료된 단계이며, 상위 시공단계에 입력된 지속기간(Duration)이 마지막 하위 시공단계에 적용된다.

NOTE.png ILM Stage Wizard를 실행한 후 자동생성되는 경계조건 그룹과 시공단계에 추가생성되는 하위 시공단계에는 이름 뒷부분에 'P'가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압출노즈가 교대나 교각에 닿는 순간 즉 외팔보의 길이가 가장 길어진 때를 별도의 시공단계로 추가 정의한 것이다. 바로 뒤의 시공단계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압출노즈 선단의 경계조건만이 추가된다. Wizard 기능에 의해 자동생성되는 시공단계는 Define Construction Stage를, 경계조건 그룹과 하중그룹은 Define Boundary Group과 Define Load Group을 참조

Step

Distance에서 입력한 거리만큼 압출하는데 필요한 압출회수를 입력합니다.

Save Stage Result

각 시공단계별 해석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단계마다 해석결과를 저장하도록 합니다.

Save Step Result

각 시공단계의 Step별 해석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Step마다 해석결과를 저장하도록 합니다.

 

Boundary Group for Temporary Support

제작장 및 가교각과 같이 시공단계에 고려되어야 할 추가적인 경계조건 그룹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합니다. 추가 고려할 경계조건 그룹은 ILM Stage Wizard를 실행하기 전에 정의되어 있어야 하며, 자동생성되는 하위 시공단계에 반영됩니다.

NOTE.png ILM Bridge Model Wizard를 이용한 경우는 요소그룹, 경계조건 그룹 및 하중그룹이 자동생성된다.

Open...

ILM Stage Wizard에서 *.wzd 파일로 저장한 데이터를 불러 들이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CIVIL 을 다시 실행한 후, Wizard 내에서 기존의 입력한 데이터 수정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Save as...

ILM Stage Wizard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wzd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Wizard에서 생성된 그룹

ILM Bridge Wizard 기능을 이용하여 교량을 모델링한 경우 자동생성되는 그룹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Structure Group

Nose : 압출노즈(시공단계 CS1에 활성화)

Segment n : n번째 세그먼트(시공단계 CSn에 활성화)

Bridge Girder : 압출노즈를 제외한 모든 주거더

 

Boundary Group

Final : 완성계(Final System)의 지지조건

Temporary : 제작장 및 가교각에 의한 지지조건

CSn-Dfmm

시공단계 CSn-m의 지지조건(변형위치에 부여)

CSn-Orgm

시공단계 CSn-m의 구속조건(변형전 위치에 부여)

압출노즈의 선단이 교각에 의해 지지되기 직전의 지지조건 (시공단계 CSn-mP에서 활성화되고, 다음 단계에서 비활성화)

CSn-OrgmP

압출노즈의 선단이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의 조건 (시공단계 CSn-mP 직후의 단계인 CSn-m에서 활성화되고 다음 단계에서 비활성화)

시공단계 CSn-m에서 m은 n번째 세그먼트의 압출거리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하위 시공단계이다.

시공단계 CSn-mP는 압출노즈의 선단이 교각에 의해 지지되기 직전, 즉 캔틸레버 길이가 가장 길어서 불리한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시공단계이다.

 

Load Group

Self Weight : 요소의 자중(시공단계 CS1에서 활성화되어 요소의 생성과 동시에 적용됨)

TB-Prestress n : 시공단계 CSn에서 긴장되는 1차 테던(T/B)의 긴장력

Web-Prestress : 2차 텐던(복부텐던)의 긴장력(최종시공단계 직전의 시공단계에서 활성화)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