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Wizard를 이용한 다양한 형식의 Prestressed Composite Bridge Model 자동생성
- 다양한 형식의 요소를 이용한 모델링 가능 : All Frame / Plate(Deck) + Frame(Girder)
- 상/하부 구조물 모델링 편의성 확대 : 휨강성 확보를 위한 Transverse Deck요소(Dummy요소) 자동생성 / Diaphragm Information / 거더의 각 세그먼트 정의
- 하중 정의 및 시공단계 정의 편의성 확대 : Before Composite / After Composite / Code별 이동하중 자동입력 / 합성단면 시공단계 자동생성
- Wizard의 5가지 탭에 대한 모든 입력은 *.wzd 형태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Structure] 탭 > [PSC Bridge] 그룹 > [Prestressed Composite Bridge]
입력
Prestressed Composite Bridge Wizard Layout 대화상자
Girder Type
Precast Girder Type / Splice Girder Type. 위저드 구성은 각각의 girder type에 따라 달라진다.
Precast Girder Type : 거더는 현장 외부에서 제작되어 첨부 간격마다 격주로 설치됩니다.
Splice Girder Type : Girder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제작됩니다. 거더 세그먼트는 연결 부위에서 분리됩니다.
Modeling Type
All Frame : 거더를 Frame 요소로 생성. Section Properties에서 정의된 Composite 단면 적용
Deck as Plates & Girder as Frames : 상부 데크는 Plate 요소로, 거더는 Frame 요소로 생성
Span Information
경간정보 입력,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Pier 및 중간지점이 생성
30, 25, 2@20, 30 : 총 5개 Span으로 각각 30m, 25m, 20m, 20m, 30m 길이를 가지는 교량
Skew 또는 곡선 형태의 Span은 Reference Line Position으로 부터 입력된다. 간격 정보는 참조선(Reference Line)을 기준으로 합니다. 교량 모델이 기울어지거나/또는 곡선인 경우, 간격 정보는 참조선 위치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또한, 횡방향 데크 요소 간격 및 중간 다이어프램 간격 (섹션 탭)의 거리는 참조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Deck Width
교량의 총 데크 폭을 지정합니다. 데크 폭은 전체 교량의 데크 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 정보는 더미 데크 멤버를 만드는 데 사용되거나 Deck as Plates 및 Girder as Frames 모델링 유형의 구간 속성에서 데크 정보를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Layout Offset
기준선(Reference Line)으로 부터 전체 교량 중심의 이격거리
Support Skew Angle
Abutment 및 Pier의 교량 종방향 기준 생성 각도. "Skew"를 선택하여 횡단 데크 요소의 각도 유형을 설정하면 해당 각도에 따라 다이어프램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참고선이 단일 반지름인 경우, 거더 유형이 Precast이고 거더 정렬 조건이 "Same Spacing"인 경우, 다이어프램 배치를 위해 각 지지대 위치 대신 참조 지점 지지대 왜곡 각도가 따라갑니다.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이 해당 지지대 왜곡 각도를 따라 이동합니다. 각도 유형이 skew인 경우, 횡단 데크 요소도 해당 각도를 따라 이동합니다. 그러나 거더 유형이 Precast이고 거더 정렬 유형이 Same Spacing인 경우, 참조선의 지지대만 해당 왜곡 각도를 따릅니다.
Skew Angle의 각도는 -75 부터 75 deg 사이어야 한다.
Radius
곡선교 모델링 시 곡률반경. 선택하지 않을 경우 직선교로 모델링
입력된 Skew Angle 및 곡률반경 정보에 따라 Nodal local Axis 자동정의
Type
곡선교 모델링시 곡률방향 선택 (Convex & Concave)
Convex : Convex curvature (곡선 아래에 있는 원의 중심).
Concave : Concave curvature (곡선 위에 있는 원의 중심).
Multi-Curve
곡선 또는 좌표 데이터를 입력 방법으로 선택하고, 를 클릭하여 여러 개의 곡선을 입력합니다.
Curve data : Multi-Curve Advanced 옵션을 사용하면, 직선 및 곡선 형상의 조합에 대해 곡률을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Plan Curve : 수평 곡선(들)을 정의.
Straight Line : 직선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입력하세요.
Circular Curve : 지정된 곡률 반경을 가진 Plan Curve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입력하세요.
Transition Curve : 지정된 곡률 반경을 가진 transition curve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입력하세요.
Vertical Curve
Station : 수직 곡선의 기준점(station)을 입력하세요.
ELEV. : 수직 곡선의 고도를 입력.
Curve Length : 수직 곡선의 수평 길이 입력.
Bank Rotation
Station : Bank rotation의 기준점(station)을 입력
Super Elevation : Bank rotation의 편경사(super elevation)을 입력
Example
|
Station (m) |
ELEV. (m) |
Curve Length (m) |
1 |
0 |
0 |
0 |
2 |
50 |
20 |
40 |
3 |
100 |
0 |
0 |
Coordinate Data : Multi-Curve Advanced 옵션을 사용하면 직선과 곡선 조합에 대한 곡률을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Start Station : 교량 모델링의 시작 위치.
Plan Curve : 수평 곡선을 정의.
Plan Curve Span Start : Plan curve의 시작 지점을 정의
No. of Plan Curve Point : Plan Curve 점의 개수를 입력하세요. 최소한 두 개의 Plan Curve 점이 필요하며, 다른 곡선이나 직선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 Plan Curve 점의 개수는 세 개 이상이어야 합니다. 만약 세 개 이상의 Plan Curve 점 개수를 입력하면, 추가적인 중간 점이 생성됩니다 (3개의 계획 곡선 점의 경우 IP 1, 4개의 계획 곡선 점의 경우 IP 2, ...).
BP : Plan curve의 시작점을 입력
EP : Plan curve의 끝점을 입력
IP 1, 2, … : 중간 점을 입력. (3개의 plan curve 점의 경우 IP 1, 4개의 plan curve 점의 경우 IP 2 등)
X Coord. : 곡선 점의 x 좌표를 입력
Y Coord. : 곡선 점의 y 좌표를 입력
R : 곡선 점의 반지름을 입력
A1 : BTC(전환 곡선 시작점)의 매개 변수를 입력
A2 : ETC(전환 곡선 끝점)의 매개 변수를 입력
AE : 달걀 모양의 클로이드 곡선의 매개 변수를 입력
R2 : 달걀 모양의 클로이드 곡선의 두 번째 반지름을 입력
Vertical Curve
Station : 수직 곡선의 기준점(station)을 입력
ELEV. : 수직 곡선의 고도(elevation)를 입력
Curve Length : 수직 곡선의 수평 길이를 입력
Bank Rotation
Station : Bank Rotation의 기준점(station)을 입력
Super Elevation : Bank rotation의 편경사(super elevation)을 입력
예제
Girder Alignment (Precast Girder Type only)
곡선형태의 Precast Girder 형태의 교량에서만 유효한 기능
Guide 참고
Same spacing : 각 지지선은 서로 평행하지만, 지지의 회전 각도는 다릅니다. 이 옵션은 Multi-Curve가 정의된 경우에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Offset spacing : 각 지지에서 지지 회전 각도가 동일합니다. 서로에게서 각각의 지지선이 퍼져 나온 형태입니다 (방사형 모양).
Boundary/Substructure
Without Substructure : 하부구조 없이 거더에 직접 Support를 정의
Supports : 경계조건을 고정단 혹은 단순 지지로 정의
Precast Girder Type에서 각각의 Span이 단순보로 지정
하나의 지점이 고정단으로 결정되면, 나머지 지점들은 종방향에 대해 자유단으로 자동 정의
Splice Girder Type 에서 중간의 Pier 지점은 고정단으로 고려된다.
하나의 지점이 고정단으로 결정되면, 나머지 지점들은 종방향에 대해 자유단으로 자동 정의
나머지 지점들은 횡방향으로 자유단으로 자동정의
Elastic Link : Bearing은 elastic links로 표현됩니다. Abutment 및 Pier에 대한 각각의 강성값을 입력합니다. 각 교각과 교대마다 다른 탄성 연결 강성도를 입력하려면 옵션을 클릭하세요.
Fixed Support : 교축직각방향으로 고정된 지지를 선택하세요. 교축직각 및 교축방향으로 고정된 베어링은 In Line with Fixed Support 옵션에서 자유로운 베어링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Direction : Tangential / Radial. free 베어링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선택하세요.
Tangential : 제약이 없는 방향은 교량의 종축에 접선으로 정의됩니다. (예: 곡선 교량의 곡률에 따라 접선이거나 직선 교량의 방향과 동일합니다)
Radial : 개별 지지부터 고정 지지까지의 방향으로 제약이 해제됩니다.
With Substructure : 하부구조(Pier)까지 모델링
Bearing Type / Elastic Link Stiffness
Abutment
Fixed : 교대부(Abutment)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가 아닌 고정단으로 정의
Elastic Link : 교대부(Abutment)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로 입력
Same as Pier : 교대부(Abutment)의 모델은 Pier와 같은 정보로 입력합니다. 강성값은 Pier와 다르게 입력할수 있습니다.
Pier
Fixed : Pier의 경계조건을 Elastic Link가 아닌 고정단으로 정의
Elastic Link : Bearings은 elastic links로 표현됩니다. Bearing의 강성값을 입력합니다.
Elastic Link Length : 거더의 하부플랜지와 Pier Cap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를 Elastic Link Length로 입력합니다.
Pier
Material : Pier에 적용할 재질 특성 정의 및 선택
Pier Cap : 선택 시 Pier Cap 모델링 적용
Section : Pier Cap에 적용할 단면 정의 및 선택
Length : Pier Cap의 길이
Column
Section : Pier 기둥부에 적용할 단면 정의 및 선택
Height : Pier 기둥부 높이
Spacing : 교각을 2개 이상 입력 시 교각 간의 중심간격 입력. 여러 개의 간격 입력 시 교각 개수 증가
1,2 입력시 1m와 2m 간격으로 기둥 3개 생성. 2@1입력 시 1m 간격으로 기둥 3개 생성
Pier Support
Fixed : Pier의 하단을 고정단으로 정의
Spring Support : Spring support는 Pier의 하단부에 대해 스프링으로 정의
Spring Stiffness : Pier Support를 Spring Support로 선택 시, 스프링 강성값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