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차량이동하중에 의한 영향선 또는 영향면 분석에서, 임의의 반력이 발생하는 차량하중 재하조건을 추적하여 그래픽으로 나타내고, 이를 정적하중으로 변환하여 MCT 형식의 모델파일로 출력합니다. 최대 또는 최소 반력을 발생시키는 하중의 재하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Results] 탭 > [Type : Analysis result] > [Moving Load] 그룹 > [Moving Tracer] > [Reactions]
입력
Reactions 대화상자
Moving Load Cases
반력의 결과값에 대한 차량하중 재하조건을 추적하고자 하는 하중조건을 선택합니다.
Key Node
선택하고자 하는 반력이 발생할 절점의 번호를 입력합니다.
Scale Factor
영향선 또는 영향면의 작도비율을 입력하여 화면에서의 상대크기를 조절합니다.
Components
절점 반력의 방향성분을 선택합니다.
FX : 전체좌표계 X축 방향(절점좌표계 x축 방향) 반력성분
FY : 전체좌표계 Y축 방향(절점좌표계 y축 방향) 반력성분
FZ : 전체좌표계 Z축 방향(절점좌표계 z축 방향) 반력성분
MX : 전체좌표계 X축에 대한 모멘트 반력성분
MY : 전체좌표계 Y축에 대한 모멘트 반력성분
MZ : 전체좌표계 Z축에 대한 모멘트 반력성분
Local(if defined)
절점좌표계가 설정되어 있는 절점에는 절점좌표계에 따른 결과를 출력합니다.
Type of Display
출력형태를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1. Contour
영향선 또는 영향면의 등고선도를 차량하중 재하상태와 같이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Ranges : 등고선도의 영역을 지정합니다.
Customize Range... : 등고선도의 색상구분 영역을 지정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범위에 대해 특정색상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Number of Colors : 등고선도에 포함할 색상수 지정(6, 12, 18, 24개 색상 중 선택)
출력값의 최대, 최소값보다 바깥의 값을 Contour Range Max/Min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습니다.
Min/Max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범위를 넘는경우에는 Min/Max는 Rank 0과 Rank 11에 입력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Colors : 등고선도의 색상을 지정 또는 조정합니다.
Color Table : Color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Customize Color Table... : 등고선도의 각 영역별 색상을 조정합니다.
Reverse Contour : Check on 하면 등고선도의 색상변화 순서를 역으로 변경합니다.
Contour Line : 등고선도 경계선의 색상을 지정
Element Edge : 등고선도를 나타낼때 요소 외곽선의 색상을 지정
Contour Options : 등고선도의 표현방식을 지정합니다.
Contour Fill
Gradient Fill : 등고선도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색조확산처리하여 표현합니다.
Draw Contour Lines : 등고선도에서 색상별 경계선을 표현합니다.
Draw Contour Line Only
등고선도의 색상별 경계선만을 표현합니다.
Mono line : 등고선도의 색상별 경계선을 단색으로 표현합니다.
Contour Annotation
등고선에서 각 영역을 구분하는 주석을 표시합니다.
Spacing : 표시되는 주석의 간격지정
Coarse Contour(faster) (for large plate or solid model)
판요소나 입체요소를 사용한 대형 모델에서 등고선도를 표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간략한 등고선도로 표현합니다.
Extrude
판요소 또는 Cutting Plane을 적용한 입체요소의 등고선도를 표현하는 경우, 요소좌표계 z축 방향을 해석결과값의 양의 방향으로 적용한 3차원 등고선도로 표현합니다.
이 옵션은 변형도(Deform)옵션과 함께 적용할 수 없고, 판요소의 두께가 표현되는 Hidden옵션이나 Top&Bottom의 부재력(응력)을 동시에 표현하는 Both옵션에서도 적용할 수 없습니다.
2. Legend
작업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해석결과에 대한 각종 참조사항을 정리하여 출력합니다.
Legend Position : 작업화면에서 Legend의 위치 지정
Rank Value Type : Legend 값의 출력형태와 소수점 자리수 지정
3. Applied Loads
해석결과값이 발생하는 차량하중조건을 그래픽으로 표현합니다.
차량하중조건의 표식을 상세 설정합니다.
Load Scale Factor : 하중표식의 작도비율 입력
Load Value : 하중값의 표현여부 지정
4. Include Impact Factor
충격계수를 고려한 영향선 또는 영향면의 값을 출력합니다.
Maximum Value
차량이동하중 해석에서 계산되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출력합니다.
Write Min/Max Load to File
영향선 또는 영향면 해석을 수행한 경우, Moving Load Cases 항목에서 선택한 최대 또는 최소 결과치가 발생되는 상태의 이동하중을 정적하중으로 변환하여 MCT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Moving Loads Convert to Static Loads 대화상자
File Name
출력할 MCT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입력합니다.
Eurocode 선택 시 이동하중을 정적하중으로 치환할 때 원심력을 수평방향 하중으로 추가 고려
Moving Loads Convert to Static Loads (좌)차량 (우)철도
Vertical Loads : 최대 또는 최소 결과치가 발생되는 상태의 이동하중을 수직방향 정적하중으로 변환
Centrifugal Forces : 곡선교에서 차량 및 철도의 원심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을 수평방향 정적하중으로 변환
Height of Centrifugal Force From Running Surface : 원심력이 작용하는 노면으로 부터의 높이
Maximum Speed : 차량의 최대속력
Radius of Curvature : 곡선교의 반경
Curve Type for Horizontal Force Direction
Convex : 볼록한 형태의 곡선교
Concave : 오목한 형태의 곡선교
Applicable Vehicle names :
- Road Bridge: Load Model 1 Standard and user-defined vehicle
- Railway Bridge: Standard Vehicle – LM71, SW/0, SW/2, Unloaded Train, HSLM
User Defined Vehicle – LM71, SW/0, SW/2, Unloaded T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