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프로젝트 정보 생성 편집

층별정보

기능

  • 건물의 층수, 층고 등 층별 정보를 설정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정보] 탭 > [프로젝트 정보] 패널 > [층별정보]
단축명령어 SI

 

입력


층별개요

테이블 사용법을 참조하여 다음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합니다.

 

층별 : 층 이름

층고 (mm) : 층 높이. 하부층과 상부층의 바닥레벨을 기준으로 높이를 입력합니다. Base의 층고는 없으므로 편집할 수 없습니다.

누적층고 (mm) : 누적된 층고가 자동으로 산정됩니다. (지하는 –값으로 표기됩니다.)

CAD 도면 : 각 층에 적용하려는 건축도면 지정합니다.

Z레벨 : CAD도면의 할당 높이(Z좌표 위치)를 지정합니다. (기본값 : 최하부)

지정레벨 (mm) : CAD도면의 Z레벨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Z레벨을 지정레벨로 하는 경우 입력 가능)

내림기초층 사용 :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내림기초층이 생성되며 자동으로 층고가 지정됩니다. (기본층고 : 1000)
                              지하층 등이 없어 기초를 동결선 아래로 내려야 할 경우 내림기초층을 사용합니다.
                              구조도면에 내림기초층 평면도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지하층이나 PIT층 사용시 내림기초층 사용은 비활성화됩니다.

PIT층 사용 :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Z방향으로 PIT층이 생성되며 자동으로 층고가 지정됩니다. (기본층고 : 1000)
                      PIT층을 사용하면 구조도면에서 [PIT층 구조평면도]가 추가됩니다.
                      내림기초층 사용시 PIT층 사용은 비활성화됩니다.

옥탑1층 사용 :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옥탑1층이 생성되며 자동으로 층고가 지정됩니다. (기본층고 : 4000)

옥탑2층 사용 :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옥탑2층이 생성되며 자동으로 층고가 지정됩니다. (기본층고 : 4000)

옥탑지붕층 사용 :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옥탑지붕층이 생성되며 자동으로 층고가 지정됩니다. (기본층고 : 3000)

 

1. 층은 지하층, 옥탑층을 포함한 10개층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내림기초, 옥탑1층, 옥탑2층, 옥탑지붕층을 생성하면 기본층고가 주어지지만 층고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내림기초층이란?

동결선 확보를 위하여 땅속(약 GL -500mm ~ -1,000mm)에 기초를 묻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노출된 땅이 계절에 따라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지표면에서 일정 깊이까지는 일정한 지내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얼었다 녹는 땅의 깊이를 '동결심도'라고 표현하고, '동결심도'는 지역에 따라 연간 온도차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내림기초'는 일정한 지내력을 얻기 위해 기초를 '동결심도' 아래에 깊이 위치시키는 기초를 말합니다.
'내림기초층'의 높이는 1층 바닥면에서 기초의 상부저면까지의 높이입니다. 아래 그림은 내림기초층의 개념도입니다.


층 추가/삭제

 새로운 층을 생성하는 경우

 이미 만들어진 층을 삭제하는 경우

 

부재 : 새로운 층 생성시 기존 층에 만들어져 있는 부재 정보를 새로운 층에 적용

속성 : 새로운 층 생성시 기존 층에 만들어져 있는 속성 정보를 새로운 층에 적용

 

속성은 부재에 종속되므로 비활성화 상태로 있다가 부재를 체크하면 활성화 됩니다.
속성을 체크하면 부재와 함께 속성이 동시에 복사됩니다.

층고 : 추가하는 층의 층고 높이

복수층 : 추가하는 층의 개수


기능옵션보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입력한 정보가 저장되고 대화상자가 종료됩니다.

버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ESC를 클릭하는 경우 대화상자는 종료됩니다.


하나의 층 내에서 중층 형태로 구분된다면 어떻게 모델링해야 하나요?

수직부재 생성시 지정레벨 기능을 사용합니다. CAD 도면의 지정레벨을 변경해가며 모델링합니다.

 

경사진 벽 모델링은 어떻게 하나요?

높이를 레벨지정으로 설정하여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