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das MODELER DS 에서는 두 가지 층개념을 사용합니다. 모델링 단계에서는 n타입의 층 개념을 사용하고 구조평면도에서는 U타입의 층 개념을 사용합니다.
모델링 층 개념(n 타입) | 구조평면도 층 개념(u 타입) |
해당 층의 상부슬래브로부터 그 아래층의 상부슬래브 윗부분까지를 1개 층(Story)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단면상에서 간단히 도식으로 표현하면 1개 층은 n와 같이 형상이 되어 n타입 이라고 부르며 midas MODELER DS에서 특별히 “OO층 레벨구간”이라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2층 바닥 슬래브는 1F에 속하는 1층 슬래브가 됩니다. 모델링 된 부재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 Tool tip을 확인하거나 부재를 더블클릭하여 속성창을 보면 해당부재의 소속 층을 알 수 있습니다. |
구조평면도를 작성할 때는 각층 바닥레벨에서 수평으로 절단한 면의 하부를 표현합니다. 절단면에 위치한 수직부재와 그 하부의 바닥슬래브 및 보 등의 수평부재를 그리기 때문에 u타입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midas MODELER DS의 결과물인 ‘구조평면도’에서 앞서 서술한 모델링 층개념(n타입)을 적용하면 도면 표현이나 부재그룹이름 적용에 모순이 발생합니다. 1층 구조평면도에 모델링상 1F 소속 부재인 '1층 슬래브, 1층 보'를 표시하면 사용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물의 표현에서는 관습에 입각하여 u타입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모델링상의 1층 슬래브는 “2층 바닥 구조평면도”에 2S1의 형태로 표시하여 기존의 도면작성방법과 동일한 형태의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
모델링에서 n타입을 사용하는 이유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흐름이 슬래브 → 작은보 → 큰보 → 기둥/벽을 기본단위로(n형상) 반복되면서 최종적으로 기초로 전달되어 지내력과 평형을 이루는 원리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