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KSCE-USD05 생성 편집

Rating Design Result Tables

기능

  • 내하력 검토 결과(허용응력법, 강도설계법)를 Table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MODS] 탭 > [Bridge Rating Design] 그룹 > [KSCE-USD05] >  [Rating Design Result Table]

 

입력

허용응력법

허용응력법에 의한 교량부재의 내하율 산정시에 하중조합으로는 D+L(1.0+i)를 사용하므로 하중계수는 각각 1.0이 된다. 사용재료의 허용응력은 강재의 경우 사용재료에 따른 항복응력을 사용하여 도로교 표준시방서 규정에 의거 부재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응력은 대상 부재단면에 있어서 철근 및 강재부식, 콘크리트의 중성화, 염해, 동해 등에 의한 강도저하와 단면손실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이때 고정하중은 현재 교량에 작용하고 있는 모든 하중을 가능한 한 정확히 고려한다. 활하중은 현행 도로교 표준시방서의 설계활하중을 사용한다. 허용응력법에 의한 내하율은 강재의 내하율 산정 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ating Design Result Table(허용응력법)


MEMB

출력되는 요소의 번호를 나타냅니다.


Part

선택된 부재에서 내하력검토를 수행하는 위치를 나타내며 I[1]에서 [1]은 절점번호를 나타냅니다.


Position

내하력 검토에 대한 응력포인트를 나타냅니다. 1 or 2는 부재의 상단을 나타내고 3 or 4는 부재의 하단을 나타냅니다.


Max/Min

선택한 하중조합에 대한 Max/Min를 나타냅니다. Max는 인장을 나타내고 Min은 압축을 나타냅니다.


Rating Case

하중조합 중 Define Rating Case에서 정의한 내하력 검토조건을 나타냅니다.


Type

12가지 동시발생부재력 중에서 내하력 검토에 사용된 Type을 나타냅니다.


허용응력법에 의한 내하력 설계

fa : 콘크리트 허용응력(MPa)

fd : 고정하중에 의한 해당요소 상/하연에서의 응력(MPa)

fl : 활하중에 의한 해당요소 상/하연에서의 응력(MPa)

Rating Factor : 내하율(R.F)

계산처짐 : 계산된 처짐량(mm)

실측보정계수 :

기본내하력 :

여기서 =기본내하력 , =설계하중 , =내하율

공용내하력 :

여기서 =실측보정계수 , =노면상태 보정계수 , =교통상태보정계수

설계하중 : 설계활하중 (DB - )


강도설계법

강도설계법에 의한 교량부재의 내하율 산정 시 하중조합으로는 1.3D+2.15L(1.0+i)을 사용하므로 하중계수는 각각 1.3, 2.15가 된다. 단면강도는 단면의 현재상태, 즉 재료강도와 단면손실 등을 고려하여 도로교 표준시방서의 공칭강도와 강도감소계수에 따라 계산한다. 교량 설계시의 부재강도 감소계수는 부재강도의 산정에 있어서 재료강도에 대한 불확실성, 설계와 시공단면의 오차 등을 고려하는 계수이나 내하력 평가 시에는 그러한 불확실성은 상당히 감소하므로 오히려 공용 중에 부재단면의 손상정도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나 부재단면의 손상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공칭강도의 산정 시는 교량의 현재상태에 따른 단면감소와 코어 강도에 따른 재료강도를 고려하고 강도감소계수는 설계시의 값을 그대로 사용한다.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단면력은 현재 작용하고 있는 고정하중과 현행 도로교 표준시방서의 설계 활하중(DB 또는 DL하중)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통해서 구한다. 강도설계법에 의한 내하율은 콘크리트 부재의 내하력 산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ating Design Result Table(강도설계법)


강도설계법에 의한 내하력 설계

아래 내용을 제외한 설명은 허용응력법과 동일합니다.

ØMn : 공칭 저항모멘트(MPa)

Md : 고정하중계수가 포함된 고정하중 모멘트(MPa)

M_L : 활하중계수가 포함된 활하중 모멘트(MPa)

Rating Factor : 내하율(R.F)

계산처짐 : 계산된 처짐량(mm)

실측보정계수 :

기본내하력 :

여기서 =기본내하력 , =설계하중 , =내하율

공용내하력 :

여기서

=공용내하력 , =공용년수, 활하중 동시재하확률, 교통량, 차선수 등의 보정계수 , =실측보정계수

설계하중 : 설계활하중 (DB - )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