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재료의 공칭값과 실제 강도와의 차이, 부재를 제작 또는 시공할 때 생기는 설계도와의 차이, 그리고 내력의 추정과 해석에 관련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안전계수인 강도저감(감소)계수를 입력합니다.
- 입력하지 않을 경우 기준에서 제시된 값으로 자동 설정되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본 기능을 이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Design] 탭 > [Type : Steel Design] > [Design Input Data] 그룹 > [Design Parameters] > [Strength Reduction Factors]
입력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를 통하여 입력합니다.
Strength Reduction Factor 대화상자
Design Code
설정된 설계기준을 표시
Update By Code
사용자가 정한 설계기준에 따라 강도저감(감소)계수를 초기화합니다.
Strength Reduction Factors
각 항목에 강도저감(감소)계수를 입력합니다.
For Yielding in the Gross Section (Phi_t1) : 전체 총 단면의 강도 저감(감소) 계수
For Fracture in the Net section (Phi_t2) : 순단면의 강도 저감(감소) 계수
For Compression Members (Phi_c) : 압축 부재의 강도 저감(감소) 계수
For Flexural Members (Phi_b) : 휨 부재의 강도 저감(감소) 계수
For Shear (Phi_v) : 전단에 대한 강도 저감(감소) 계수
: 입력한 값이나 선택사항을 적용하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 입력한 값이나 선택사항을 적용하지 않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강도저감(감소)계수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된 설계기준의 강도감소계수가 적용된다.
각 나라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도 저감계수 및 안전계수는 아래와 같다.
- AASHTO-LRFD02(Strength Reduction Factor)
1. 인장
총단면 항복(φ_t1) : 0.95
순단면 파괴(φ_t2) : 0.80
2. 압축(φ_c) : 0.90
3. 휨(φ_b) : 1.00
4. 전단(φ_v) : 1.00
- AISC-LRFD2K(Strength Reduction Factor)
1. 인장
총단면 항복(φ_t1) : 0.90
순단면 파괴(φ_t2) : 0.75
2. 압축(φ_c) : 0.85
3. 휨(φ_b) : 0.90
4. 전단(φ_v) : 0.90
- AISC-LRFD93(Strength Reduction Factor)
1. 인장
총단면 항복(φ_t1) : 0.90
순단면 파괴(φ_t2) : 0.75
2. 압축(φ_c) : 0.85
3. 휨(φ_b) : 0.90
4. 전단(φ_v) : 0.90
- BS5950-90(Design Resistance Factor)
1. Strength Material(γm1) : 1.0
2. Manufacturing Tolerances(γm2)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