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큰보를 생성합니다. 두 점을 이어 생성하며, 곡선보, 단차보 생성 및 자동생성 기능을 포함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모델링] 탭 > [부재생성] 패널 > [보] > [큰보]
단축명령어 CB
입력
기본옵션
도면에서 보의 양단 절점을 선택하여 큰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큰보의 한쪽 절점을 선택하고 다음 절점을 선택하면 현재 단면 두께의 큰보가 생성됩니다. |
큰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속해서 큰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는 층 하부에 수직부재인 기둥, 벽이 있는 경우나 교차하는 큰보가 있는 경우, 생성하는 큰보는 해당 부재위치에서 자동 분할됩니다.
호 [A]
곡선보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호의 시작점을 선택하고 호의 중간점 또는 중심점을 선택 후 호의 끝점을 선택하면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곡선보가 생성됩니다. |
곡선 보의 생성단계에서 끝점을 선택하기 전, 보가 생성될 형상이 가상선으로 나타납니다. 이 가상선을 통해 생성될 형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 작업 중 직선보와 곡선보을 서로 변경하면서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단차보 [D]
단차보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기본 옵션과 동일하게 큰보의 한쪽 절점을 선택하고 다음 절점을 선택하면 현재 단면 두께의 큰보가 생성됩니다.
절점은 단차의 상단부분의 절점에 부재를 생성합니다. 단차보는 구조선이 있는 위치 이외에 단차이만큼 내려간 위치에서 부재 연결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선이 생성됩니다. 단차보는 현재 설정 단차이 정보가 있습니다. 생성되는 단차보의 단차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보의 단면높이는 현재 단차보다 크게 설정해야 합니다.
현재 단면이 철골 단면인 경우 생성된 보에 단차보 지정이 해제됩니다.
자동생성 [G]
큰보를 자동 생성하는 옵션입니다.
생성하기 원하는 층에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보가 자동 생성됩니다. |
큰보의 자동 생성은 생성 층 하부에 기둥 부재가 있고 생성층에 CAD 도면의 중심선이 있는 경우 생성되며 기둥간 연결된 중심선에 큰보가 자동 생성됩니다. 그러므로 큰보가 자동 생성되기 위해서는 보가 생성되는 층에 CAD 도면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층 하부에 기둥이 있어야 합니다. 부재 단면크기는 지배면적의 하중을 고려하여 자동 설정됩니다.
단면변경 [S]
현재 단면으로 설정된 단면을 변경하는 옵션입니다.
등록된 단면 중 설정하려는 단면의 아이디를 입력하거나 정보트리 > 부재 > 보 리스트에서 원하는 단면을 클릭하면 현재 단면이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단면 아이디는 정보트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단면에 한해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원하는 단면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새 단면을 등록해야 합니다.
새 단면등록 [N]
기능 수행 중 단면등록 창으로 바로 이동하여 원하는 단면을 등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보 단면 등록/편집 대화창"에서 새 단면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현재 단면으로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생성하기 원하는 단면 크기가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정보트리에 추가됩니다.
RC 모델링시 큰보와 작은보는 무슨 차이점이 있나요?
큰보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를 의미하며, 작은보는 슬래브를 지지하고 큰보에 의해 지지되는 보를 의미합니다. 모든 보의 최소폭은 철근의 배근, 변형 등을 고려하여 300mm로 권장하고, 작은보를 지지하는 큰보는 작은보에 의한 집중하중을 받으므로 보의 처짐, 전단강도 및 주철근의 정착길이 등을 고려하여 최소폭을 350mm로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철골 모델링시 큰보와 작은보는 무슨 차이점이 있나요?
철골보의 경계조건에 따라 구조도면에 표현되는 단부 결합 표시가 달라집니다.
경계조건이 '고정'인 경우에는 구조도면에는 강접합(모멘트접합)으로 표시되고, '핀' 조건은 핀접합(전단접합)으로 표시됩니다.
프로그램에서 큰 보로 모델링하면 이 부재의 경계조건은 '고정-고정'으로 자동 설정되고, 작은보는 '핀-핀'으로 설정됩니다.
부재를 생성한 후에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부재의 속성창에서 경계조건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