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부재생성 생성 편집

작은보

기능

  • 작은보를 생성합니다. 두 점을 잇거나 큰보를 지정하여 생성하며 곡선보 생성 및 자동생성 기능을 포함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모델링] 탭 > [부재생성] 패널 > [보] > [작은보]

단축명령어 CSB

 

입력


기본옵션

도면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보의 절점을 선택하여 작은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작은보의 한쪽 절점을 선택하고 다음 절점을 선택하면 현재 단면 두께의 작은보가 생성됩니다.

작은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속해서 작은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는 층 하부에 수직부재인 기둥, 벽이 있거나 교차하는 큰보나 작은보가 있는 경우 생성하는 작은보는 해당 부재위치에서 자동 분할됩니다.


호 [A]

곡선보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호의 시작점을 선택하고 호의 중간점 또는 중심점을 선택 후 호의 끝점을 선택하면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곡선보가 생성됩니다.

곡선 보의 생성단계에서 끝점을 선택하기 전, 보가 생성될 형상이 가상선으로 나타납니다. 이 가상선을 통해 생성될 형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 작업중 직선보와 곡선보을 서로 변경하면서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자동생성 [G]

작은보를 자동 생성하는 옵션입니다.

생성하기 원하는 층에 큰보와 큰보 사이에 작은보가 자동 생성됩니다.

작은보는 큰보 사이에 생성되므로 큰보가 있는 경우 생성됩니다. 작은보의 자동 생성은 큰보로 폐쇄된 공간에 바닥이 일방향 슬래브로 가정하여 작은보가 자동 생성됩니다. 부재 단면은 지배면적의 하중을 고려하여 자동 설정됩니다.


2부재간 [MM]

부재사이에 작은보 개수를 지정하여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작은보가 생성될 큰보 두 개를 순서대로 선택하고 생성될 작은 보의 개수를 입력하면 선택한 큰보를 연결하는 작은보가 생성됩니다.

선택한 두 개의 보가 평행해야 생성이 가능합니다. 작은보의 생성 위치는 선택한 보에 입력한 개수 만큼 등간격으로 자동 생성됩니다. 부재 단면은 현재 단면으로 생성됩니다.


단면변경 [S]

현재 단면으로 설정된 단면을 변경하는 옵션입니다.

등록된 단면 중 설정하려는 단면의 아이디를 입력하거나 정보트리 > 부재 > 보 리스트에서 원하는 단면을 클릭하면 현재 단면이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단면 아이디는 정보트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단면에 한해 현재 단면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원하는 단면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새 단면을 등록해야 합니다. 현재 단면은 큰보와 작은보가 같은 값을 사용합니다.


새 단면등록 [N]

기능 수행 중 단면등록 창으로 바로 이동하여 원하는 단면을 등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보 단면 등록/편집 대화창"에서 새 단면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현재 단면으로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생성하기 원하는 단면 크기가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정보트리에 추가됩니다. 보의 단면은 큰보와 작은보가 같은 단면 목록을 사용합니다.


 RC 모델링시 큰보와 작은보는 무슨 차이점이 있나요?

큰보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를 의미하며, 작은보는 슬래브를 지지하고 큰보에 의해 지지되는 보를 의미합니다. 모든 보의 최소폭은 철근의 배근, 변형 등을 고려하여 300mm로 권장하고, 작은보를 지지하는 큰보는 작은보에 의한 집중하중을 받으므로 보의 처짐, 전단강도 및 주철근의 정착길이 등을 고려하여 최소폭을 350mm로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철골 모델링시 큰보와 작은보는 무슨 차이점이 있나요?

철골보의 경계조건에 따라 구조도면에 표현되는 단부 결합 표시가 달라집니다.
경계조건이 '고정'인 경우에는 구조도면에는 강접합(모멘트접합)으로 표시되고, '핀' 조건은 핀접합(전단접합)으로 표시됩니다.
프로그램에서 큰 보로 모델링하면 이 부재의 경계조건은 '고정-고정'으로 자동 설정되고, 작은보는 '핀-핀'으로 설정됩니다.
부재를 생성한 후에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부재의 속성창에서 경계조건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