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콘텐츠로 건너뛰기
부재생성 생성 편집

크레인 주행보

기능

  • 공장구조물에 크레인이 설치되는 경우에 적용하며, 부재단면>크레인에서 크레인의 용량 및 스팬을 설정한 후, 크레인 주행보를 모델링하면 크레인 주행보에 크레인 하중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크레인 주행보와 가새, 횡지지보로 모델링 한 경우에는 후처리 모드에서 2D 기본>구조평면도에 크레인 평면도가 추가되어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레인 주행보는 작은 보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보와 같은 방식으로 두 점을 이어 생성합니다.

 

호출

메인 메뉴에서 [모델링] 탭 > [부재생성] 패널 > [크레인] > [크레인 주행보]

단축명령어 CCG

 

입력


기본옵션

두 절점을 연결하여 크레인 주행보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주행보를 생성할 위치의 한 쪽 절점을 선택하고 다음 절점을 선택하면 현재 단면 크기의 주행보가 생성됩니다.

주행보가 연속되어 있는 경우 연속해서 주행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주행보는 현재 단면이 철골인 경우에만 모델링이 가능합니다. 주행보를 생성하면 현재 단면 상부에 구조선이 생성되며 자동으로 하단과 강체탄성연결됩니다. 또한 현재 설정된 크레인에 대한 적용하중이 자동 산정되어 부재에 적용됩니다.


단면변경 [S]

현재 단면으로 설정된 단면을 변경하는 옵션입니다.

등록된 단면 중 설정하려는 단면의 아이디를 입력하거나 정보트리 > 부재 > 보 리스트에서 원하는 단면을 클릭하면 현재 단면이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단면 아이디는 정보트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단면에 한해 현재 단면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원하는 단면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새 단면을 등록해야 합니다. 현재 단면은 크레인 주행보, 크레인 횡지지보, 큰보, 작은보가 같은 값을 사용합니다.


새 단면등록 [N]

기능 수행 중 단면등록 창으로 바로 이동하여 원하는 단면을 등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보 단면 등록/편집 대화창"에서 새 단면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현재 단면으로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생성하기 원하는 단면 크기가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정보트리에 추가됩니다. 보의 단면은 크레인 주행보, 크레인 횡지지보, 큰보, 작은보가 같은 단면 목록을 사용합니다.


크래인 변경 [C]

현재 크레인으로 설정된 크레인을 수정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등록된 크레인 중 설정하려는 크레인의 아이디를 입력하면 현재 크레인이 변경됩니다.

등록된 크레인 정보에 한해 현재 크레인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원하는 크레인 타입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새 크레인을 등록해야 합니다. 크레인 정보는 메인 메뉴에서 [모델링] 탭 > [특성] 패널 > [크레인] 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 크레인 등록 [M]

기능 수행 중 크레인 등록 창으로 바로 이동하여 원하는 크레인을 등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크레인 정보 대화창'에서 새 크레인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한 단면은 현재 크레인으로 변경됩니다.

입력 작업 중에 등록되지 않은 크레인 타입을 사용하려는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레인 거더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국제표준 설계하중조합 적용

크레인 거더 설계시 국제표준에 근거한 하중조합을 사용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하도록 하였습니다.
- 국내기준(KDS 41 12 00)에서는 크레인 하중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활하중으로 고려하여 하중조합을 생성합니다.
- 국제표준(IBC 2003)에서는 크레인 하중과 풍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풍하중의 크기를 저감시킵니다.

크레인거더 설계 시 풍하중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경제적인 설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중 조합    1.2X(고정하중) + (활하중) + (크레인 하중) + 0.5X1.0X(풍하중)
                    1.2X(고정하중) + 1.6X(활하중) + (크레인 하중) + 0.5X0.5X(풍하중)


0
컨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